검색결과
  • 카이스트 학생들 캔샛위성 띄운다

    "비록 깡통위성에 불과하지만 우리 손으로 직접 위성을 만들어 보겠다는 의지를 담았습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학생 16명으로 구성된 인공위성 동아리 `킨샛(KINSAT.K

    중앙일보

    2001.02.12 10:19

  • 발사 1주년 맞은 `우리별 3호'

    지난해 5월 26일 오후 3시22분 인도 남동부 샤르발사장에서 인도 PSLV로켓에 탑재돼 쏘아 올려진 국산 1호 위성 `우리별 3호''가 오는 26일로 발사 1주년을 맞는다. 우리

    중앙일보

    2000.05.23 14:15

  • [민간이 이끄는 일본 방위산업]

    일본의 방위산업은 고도의 기술력을 지닌 민간기업들이 지탱하고 있다. 미쓰비시.닛산.히타치 등 이름이 익숙한 일본의 대기업들은 거의 예외없이 방위산업부문도 운영 중이다. 가장 대표적

    중앙일보

    2000.05.03 00:00

  • [도쿄24시] 고개숙인 '기술대국'

    오부치 게이조(小淵惠三) 일본 총리는 지난달 말 시정 연설에서 '과학기술 입국' 을 기치로 내걸었다. 제조업 중심의 '기술입국' 을 넘어 첨단과학에서 21세기 일본의 비전을 찾겠다

    중앙일보

    2000.02.12 00:00

  • [도쿄24시] 고개숙인 '기술대국'

    오부치 게이조(小淵惠三) 일본 총리는 지난달 말 시정 연설에서 ''과학기술 입국'' 을 기치로 내걸었다. 제조업 중심의 ''기술입국'' 을 넘어 첨단과학에서 21세기 일본의 비전을

    중앙일보

    2000.02.11 19:46

  • 日 또 우주로켓 발사 실패

    [도쿄〓남윤호 특파원]일본이 우주로켓 발사에 연속 실패했다. 일본은 10일 오전 10시30분쯤 가고시마(鹿兒島)우주공간관측소에서 '아스트로 E' 인공위성을 실은 문부성 우주과학연구

    중앙일보

    2000.02.11 00:00

  • 日 또 우주로켓 발사 실패

    일본이 우주로켓 발사에 연속 실패했다. 일본은 10일 오전 10시30분쯤 가고시마(鹿兒島)우주공간관측소에서 ''아스트로 E'' 인공위성을 실은 문부성 우주과학연구소의 M5로켓 4호

    중앙일보

    2000.02.10 18:41

  • 일 우주 로켓 발사 연속 실패

    일본이 위성을 탑재한 우주 로켓 발사에 연속 실패함에 따라 우주개발 사업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일본은 10일 오전 10시반 가고시마(녹아도) 우주공간관측소에서 엑스선 천문위성 ''

    중앙일보

    2000.02.10 17:05

  • 실용위성 자력개발시대의 서막 여는 아리랑위성

    `아리랑위성아 무사히 궤도에 진입해 다오'' 국내 최초의 다목적 실용급위성인 아리랑1호의 발사가 20일(오후 4시12분, 한국시간)로 다가옴에 따라 과학기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소는

    중앙일보

    1999.12.13 10:20

  • [긴급진단/ 北 미사일] 4년내 美 본토 공격가능

    북한의 미사일 개발.수출은 북핵과 함께 동북아 지역의 최대 현안이다. 지난해 8월 북한의 미사일 (인공위성) 발사실험을 계기로 미.일의 전역미사일방위 (TMD) 체제 공동개발, T

    중앙일보

    1999.04.01 00:00

  • '북 위성 수명2년 로켓은 3단계'-북 선전화보 첫 공개

    북한은 지난해 8월 7일 시험발사용 대포동1호 미사일 (북한은 인공위성 주장) 을 함북 무수단기지로 이동배치했으며, 1주일만에 '기재전개' (장비설치) 를 마친뒤 연료주입을 거쳐

    중앙일보

    1999.02.13 00:00

  • [21세기 신기술,삶의 질 바꾼다]국내는 어떤가

    21세기를 준비하는 과학기술이 국내에서도 차근차근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 그중 일부는 이미 구체적인 성과물을 거두고 있는 중. 2000년대 초반에 열매를 맺을 계획인 국내 과학기술

    중앙일보

    1999.01.05 00:00

  • 北 3단계로켓 비정상작동-대기권오르기전 폭발

    [도쿄.베이징 = 오영환.유상철 특파원]북한이 지난달 31일 발사한 인공위성용 로켓의 발사에서부터 최종 낙하까지의 상세한 궤적이 밝혀졌다. 24일 일본 아사히 (朝日) 신문이 미국

    중앙일보

    1998.09.25 00:00

  • “북한서 ICBM 가지면…”국제사회 긴장

    미국 국방부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 개발을 공식확인한 데 이어 북한발사체의 파편이 알래스카 근해에 떨어졌다는 일본NHK의 보도가 나오면서 북한의 미사일 제조능력이 심

    중앙일보

    1998.09.18 00:00

  • “북한 ICBM 개발중” 미국 국방부 밝혀

    [워싱턴.도쿄 = 김수길.이철호 특파원] 미 국방부의 케네스 베이컨 대변인은 15일 브리핑에서 지난달 31일 이뤄진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를 면밀히 조사한 결과 북한이 대륙간 탄도미

    중앙일보

    1998.09.17 00:00

  • 북한 미사일 속도등 '위협수준'엔 미흡

    미 국방부는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와 관련,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 을 개발중인 것으로 분석됐다고 깊은 우려를 표명, 북한의 기술수준이 어느 정도인가에 관심이 쏠리고 있

    중앙일보

    1998.09.17 00:00

  • [북한 인공위성]미스터리 1-왜 나흘만에 발표했을까

    북한 인공위성 주장의 첫 미스터리는 발표시점이다. 북한은 지난달 31일 쏜 '발사체' 에 대해 한.미.일이 대포동1호라고 단정해도 "자주권문제에 간섭 말라" 고 할 뿐 딱부러지게

    중앙일보

    1998.09.07 00:00

  • 미국·유럽등 저가형 우주로켓 개발 본격화

    로켓개발에도 가격파괴 시대가 예고되고 있다. 특히 이같은 가격파괴 바람은 저궤도 위성 운반용 로켓시장에서 거세게 불고 있다. 현재 국제시장에서 로켓 1기당 가격은 2천만달러 안팎.

    중앙일보

    1998.02.02 00:00

  • 한라중공업,액체추진식 로켓엔진 개발

    한라중공업은 국내 최초로 저궤도용 액체추진식 로켓엔진을 개발,최근 연소시험에 성공했다고 16일 발표했다.국내에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소가 고체연료를 이용한 로켓엔진 개발에 성공한적이

    중앙일보

    1996.12.17 00:00

  • 액체폭약으로 건물 해체-인하大 '우주선연료통폭파법' 추진

    우주선 연료통을 떼어낼때 사용하는 액체폭약 절단기술이 건물해체에 적용될 날이 멀지 않았다. 인하대는 철거전문 업체인 성도건설,러시아과학원등과 공동으로 기계공학과 채재우(蔡載宇)교수

    중앙일보

    1996.07.15 00:00

  • 下.끝.對美미사일보장서 '멍에'

    6공(共)정권 후반기에 접어든 90년 10월. 주한(駐韓) 미 대사관을 통해 2쪽짜리 문서 하나가 미 국무부로부터 외무부로 날아왔다.국방부가 「현무」로 불리는 사정거리1백80㎞의

    중앙일보

    1996.06.12 00:00

  • 中,2백만불 北수해지원

    [北京=文日鉉특파원]중국정부는 북한에 대한 수재(水災)지원 규모를 2백만달러로 결정,지원품목 선정및 수량책정등 실무작업을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의 한 고위소식통은 19일『중

    중앙일보

    1995.09.20 00:00

  • 국가우주개발 중장기 계획案

    세계20위권인 우리나라의 우주개발수준을 2015년까지 세계10위권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그동안 야심차게 추진돼온「국가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안」이 마침내 모습을 드러냈다. 인도네시아.

    중앙일보

    1995.09.20 00:00

  • 우주비행기 수년내 실용화된다-美NASA등서 개발 한창

    등산을 하는데 배낭이 무겁다고 도중에 이를 매번 버린다면 어떻게 될까.물론 발걸음은 한결 가벼워지겠지만 천하 갑부가 아니고서야 배낭비용을 감당못해 아예 등산을 그만둬야 할지도 모른

    중앙일보

    1994.11.1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