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소중한 우리 것 재미난 우리 얘기 46 '봄 여름 가을 겨울 24절기'

    소중한 우리 것 재미난 우리 얘기 46 '봄 여름 가을 겨울 24절기'

    세계화의 첫걸음은 우리의 참모습을 제대로 아는 데서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취지아래 출간된 50권 시리즈로 그동안 독자들에게 꾸준한 사랑을 받아온 『소중한 우리 것 재미난 우리 얘기』

    중앙일보

    2006.07.21 15:17

  • [week&레저] 어물대다 겨울 다 갈라

    [week&레저] 어물대다 겨울 다 갈라

    남제주 대정 들녁의 수선화. 뒤로 산방산이 희미하다. 사진 제공=여행작가 양영훈 대한(大寒)이 일주일 뒤로 다가왔다. 대한을 전후해 강추위가 한바탕 기승을 부리고 나면 어느새 입춘

    중앙일보

    2006.01.12 15:34

  • 울산서 유행성 독감환자 잇따라 발생

    유행성 독감 환자가 최근 울산에서 잇따라 발견돼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울산시 보건환경연구원은 2005∼2006절기 인플루엔자(독감) 감시사업을 벌이는 가운데 이달 들어 어린이 2

    중앙일보

    2005.11.30 09:38

  • [week& In&Out 레저] 순천 금둔사의 홍매화

    [week& In&Out 레저] 순천 금둔사의 홍매화

    늦바람 난 동장군의 기세가 매섭다. 코끝이 찡하도록 찬 공기가 느슨해진 외투 자락을 다시 여미게 한다. 겨우내 소식이 없어 애를 태우게 했던 눈은 요 며칠 새 분풀이라도 하듯 거칠

    중앙일보

    2005.02.24 15:43

  • 전문가 125명 동원된 세시풍속 사전 나왔다

    전문가 125명 동원된 세시풍속 사전 나왔다

    설날이면 우리는 으레 세배를 하고 떡국을 먹는다. 또 정월대보름엔 부럼을 깨고 달맞이를 한다. 이렇게 철마다 때맞춰 하는 풍속이 바로 세시풍속이다. 세시풍속엔 우리네 삶의 물질.

    중앙일보

    2005.02.06 14:50

  • [사진] 동장군 떠날 채비…

    [사진] 동장군 떠날 채비…

    동장군 떠날 채비 소한(小寒)도 가고 대한(大寒)도 갔다. 그 춥던 겨울이 간다. 조금만 더 참으면 첫 절기라는 입춘(立春). 아쉬움인가, 그리움인가. 고드름이 눈물을 흘리고 있

    중앙일보

    2005.01.23 20:12

  • [날씨이야기] 1월 20일

    입춘(立春) 전 마지막 절기인 대한(大寒)이다.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갔다 얼어죽었다''소한 얼음이 대한에 녹는다'는 속담이 있는 것처럼 대한이 지나면 가장 추운 시기를 벗어나

    중앙일보

    2005.01.19 18:45

  • [날씨이야기] 1월 5일

    양력으로 새해를 맞은 뒤 처음 만나는 절기, 소한(小寒)이다. '대한(大寒)'이 소한 집에 가서 얼어죽고, 소한에 언 얼음이 대한에 녹았다는 속담이 말해주듯 겨울 중 가장 추운 시

    중앙일보

    2005.01.04 18:41

  • [날씨이야기] 12월 7일

    가난한 내가/아름다운 나타샤를 사랑해서/오늘 밤은 푹푹 눈이 내린다//나타샤를 사랑은 하고/눈은 푹푹 날리고/나는 혼자 쓸쓸히 앉아 소주를 마신다' (백석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

    중앙일보

    2004.12.06 18:10

  • [날씨 이야기] 대서(大暑)

    절기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 모양. 큰 더위인 대서(大暑)다. 겨울 절기인 대한(大寒)에서 꼭 6개월이 지난 이때는 일년 중 가장 무더운 시기. 그 때문에 "염소뿔이 녹는다"는 말도

    중앙일보

    2004.07.21 18:12

  • [3월 폭설 왜 왔나] 게릴라 폭우의 '겨울 버전'

    [3월 폭설 왜 왔나] 게릴라 폭우의 '겨울 버전'

    경칩인 5일 대전지역에 49cm의 기록적인 폭설이 쏟아졌다. 대중교통을 비롯한 대부분의 차량이 멈춰 선 가운데 시민들이 눈 쌓인 미끄러운 길을 힘들게 건너고 있다. [김미영 대학

    중앙일보

    2004.03.05 18:02

  • 러시아 봄맞이 축제 '마슬렌니차' 성황

    지난 22일 오후 3시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 시내 한복판에 자리잡은 크렘린 궁 앞 붉은 광장. 광장에서 모스크바 강변 쪽으로 내려가는 바실리예프스키 언덕은 영하 10도까지 내려간

    중앙일보

    2004.02.23 18:24

  • 이상고온 지속 … 겨울장사 비상

    절기상으로는 한겨울인데도 포근한 날씨와 눈 가뭄이 계속되면서 '겨울장사'에 비상이 걸렸다. 이상 고온의 날씨가 이어지면서 강원도 황태 생산이 지난해의 절반 이하로 떨어졌고, 김 작

    중앙일보

    2004.01.09 18:35

  • [삶과 문화] 희망은 노루꼬리다

    어느덧 서산을 넘어가 버린 짧은 겨울해를 의식하며 쓸쓸해진 마음으로 책장을 넘길 때였다. "너희들 팥죽 안 먹을래?" 마루에서 손자들에게 건네는 어머니의 목소리가 들렸다. 순간 의

    중앙일보

    2003.12.26 18:29

  • [날씨 이야기] 7일 대설

    "11월은 중동(仲冬)이라 대설 동지 절기로다/ 바람 불고 서리 치고 눈 오고 얼음 언다/ 가을에 거둔 곡식 얼마나 되었던고"('농가월령가' 중 십일월령) 대설(大雪)에 눈이 많이

    중앙일보

    2003.12.05 20:13

  • 세종때 나온 과학기기들

    세종때 나온 과학기기들

    세계 최초의 측우기, 자동시보 장치인 자격루, 해시계인 앙부일구, 천문 관측기기인 간의…. 세종대에 독자적인 기술로 발명한 과학기기들이다. 그 어느 나라에서 흉내내기 어려울 정도로

    중앙일보

    2003.10.07 15:34

  • [날씨 이야기] 4월 21일

    봄비가 내려 백곡(百穀)이 윤택해진다는 봄의 마지막 절기 곡우(穀雨)가 지났다. 이때쯤이면 서해에는 흑산도 근처에서 겨울을 보낸 조기떼가 충남 격렬비열도(格列飛列島) 근처까지 올라

    중앙일보

    2003.04.20 21:05

  • 온 가족이 함께 푸는 '프리미엄 낱말 퀴즈'

    온 가족이 함께 푸는 '프리미엄 낱말 퀴즈'

    중앙일보 독자만을 위한 프리미엄 서비스에서 회원을 위한 낱말퍼즐 행사를 매월 실시 합니다. 중앙일보 프리미엄 사이트(http://premium.joins.com)를 통해 응모하시면

    중앙일보

    2003.03.20 14:37

  • [맛 난상토론] 생태찌게

    [맛 난상토론] 생태찌게

    생태찌게는 ‘겨울에 먹어야 역시 제 맛’이다.그런데 절기는 벌써 우수(雨水)를 지나 경칩(驚蟄)을 향하고 있다.제대로 맛을 느끼며 먹을 수 있는 날이 얼마 안 남았다는 얘기다. 겨

    중앙일보

    2003.02.21 11:26

  • [맛 난상토론] 생태찌개

    [맛 난상토론] 생태찌개

    생태찌게는 ‘겨울에 먹어야 역시 제 맛’이다.그런데 절기는 벌써 우수(雨水)를 지나 경칩(驚蟄)을 향하고 있다.제대로 맛을 느끼며 먹을 수 있는 날이 얼마 안 남았다는 얘기다. 겨

    중앙일보

    2003.02.20 17:01

  • 사고뭉치 노빈손과 과학원리를…

    '노빈손의 계절 탐험 시리즈'의 셋째권. 실수투성이 노빈손이 말숙이와 스키장 등 겨울을 즐길 곳을 찾아다니다 신기한 과학 원리와 절기 이야기, 별자리 이야기 등을 듣는다는 구성.

    중앙일보

    2002.09.14 00:00

  • 우리의 군대,우리의 아들

    "정말 믿을 것은 군대밖에 없군." 누군가의 말에 모두 고개를 끄덕였다. 태풍 '루사'에 처참하게 유린된 수재지역을 안타까워하던 끝에 결론처럼 나온 얘기였다. 잃어버린 삶의 터전

    중앙일보

    2002.09.12 00:00

  • 언제나 이날처럼 넉넉해 지자

    나의 설날은 풀이 빳빳한 흰 두루마기들이 겨울의 빈 들판을 사각사각 걸어오는 발걸음 소리로부터 떠오른다. 흰 눈이 내리는 소리 같기도 하고 늘푸른 소나무에 찬바람이 부딪히는 소리

    중앙일보

    2002.02.09 00:00

  • 날씨 이야기

    4일은 24절기의 첫번째 절기인 입춘(立春)이다.양력으로는 2월 4일께 태양이 시황경 3백15도에 왔을 때를 입춘 입기일로 한다.음력으로는 이 날부터 봄이라고 여기지만 겨울추위가

    중앙일보

    2002.02.0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