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52)우엉·연 뿌리

    우엉과 연 뿌리는 둘 다 탄수화물이 주성분인 알칼리성 식품이다. 우엉은 국화과에 속하는 근채류. 유럽이 원산지로 중국을 경유해 우리 나라에 전해진 듯하다. 봄과 가을에 파종하나 첫

    중앙일보

    1972.05.06 00:00

  • (42)|오이·호박

    오이와 호박은 박과에 속하는 「알칼리」성 식품으로 둘 다 「비타민」A·C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오이의 원산지는 인도 서북의 「히말라야」 산맥 지대이고 호박은 동남 「아시아」의

    중앙일보

    1972.03.24 00:00

  • (25)시금치

    겨울은 시금치 맛이 제철이다. 겨울철 식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시금치는 식용 야채 중 제일의 영양가를 자랑하는 「알칼리」성 식품이다. 서부 「아시아」가 원산지인 시금치는 일반적으로

    중앙일보

    1972.01.22 00:00

  • 실내장식-구미의 요즘음 경향은 여러가지 소재로 다채롭게

    값싸고 편리한 「플라스티」제 가구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구미의 서민가정에서는 그에 어울리는 실내장식을 위해 식탁보나 침대 「쉬트」의 소재나 색깔을 흰「포플린」에서 보다 다양한 소재

    중앙일보

    1972.01.19 00:00

  • "균형 있는 영양조절을"-겨울철 임부가 알아야 할 건강수칙

    겨울철은 여러가지 면에서 임부에게 위험한 계절이다. 추위 자체도 문제지만 꽁꽁 언 빙판은 더욱 위험하다. 겨울철을 건강하게 보내기 위해 임부들이 알아야할 주의 점에 대해 국립의료원

    중앙일보

    1971.12.06 00:00

  • 시금치

    우리 몸을 구성하고 회복시키는데 필요한 구성영양소인 무기질과 비타민을 다량으로 함유하고있는 시금치는 비교적 사철 우리의 식탁에 이용되는 채소지만 3월부터 제철로 접어들고 맛도 제일

    중앙일보

    1971.02.27 00:00

  • 추위를 건강하게 비결 7장

    명절로 흐트러졌던 생활리듬을 되찾고 본격적인 추위를 건강하게 보내려면 다음 7가지 비결을 실천하도록 전문가들은 전하고 있다. ⓛ저녁식탁에는 따뜻한 남비요리를 준비한다. 남비요리는

    중앙일보

    1971.01.07 00:00

  • 세모와 연초는 피로하다|전문의가 말하는 건강관리

    연말 연시에는 망년회 등으로 외출하는 기회가 많아 명소의 생활「리듬」이 달라져 지나치게 피로가 축척 되고 과음·과식하기 일쑤여서 건강을 헤치기 쉽다. 더 우기 요즘 악성감기가 유행

    중앙일보

    1970.12.28 00:00

  • - 강원도

    춘천을 중심으로 한 영서와 강릉·속초 등지의 영동지방으로 크게 구분되는 강원도는 지리적 조건과 기후 차로 두 지역이 각각 독특한 김치 맛을 가지고 있다. 지역적으로 경기도에 가까운

    중앙일보

    1970.11.12 00:00

  • 콜드·체인

    귤 같은 귤, 사과 같은 사과-. 어느 시인이 미국기행문 속에서 한말이다. 귤은 귤인데 제 맛이 아니며, 사과도 역시 그 맛이 아니더라는 객설이다. 귤 한알이 지중해의 훈풍 속에서

    중앙일보

    1970.01.30 00:00

  • 식탁에 돌아온 진미 황태|진부령 눈바람에 맛이 익는다

    진부령 마루턱에서 서남쪽으로 10리-. 사위가 험준한 산세로 병풍같이 둘러싸인 강원도인제군 배면 용대리 구릉지대에 있는 김상필씨(50)의 덕장등 일대 실개천 가네곳에 흩어진 황태덕

    중앙일보

    1970.01.29 00:00

  • 김장

    쌀과 땔감과함께 깨 겨우살이 준비에는 김장이 소중한 역할을한다. 겨울철 식탁에는 특히 김장김치가 고기보다 더입맛을 돋워 김장은 반식량의역할을 하는셈이다. 올겨울의 김장감은 풍작이어

    중앙일보

    1968.10.26 00:00

  • (122)-희망의 계단(24)

    야트막한 산에도 응달엔 겨울의 복병이미처 달아나지 못하고 봄비를 맞는다. 부산측후소가 최저기온을 영하0도5분으로 알리는 날 경남 김해군 김해읍 어방리 「비닐·하우스」마을은 섭씨30

    중앙일보

    1968.03.16 00:00

  • (109)희망의 계단(18)

    올 겨울 명태잡이도 이제 막바지에 올랐다. 한류를 타고 오는 명태철은 매년11월부터 이듬해 1월말까지. 이때만 되면 동해안 명태어항으로 가는 길목, 진부령에는 그 굽이도는 고갯길마

    중앙일보

    1968.01.20 00:00

  • 미각풍류(완)|속초의 명란젓

    김장도 끝나고 온돌방이 포근한 겨울철이 되면 속초아가씨들이 정성 들여 담근 명란젓이 우리의 입맛을 돋운다. 옛날에는 함경도서 서울의 고관들에게 바치는 진상품이었고 일정 때는 일인들

    중앙일보

    1966.07.0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