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미리보는오늘] 나쁜 선례

    [미리보는오늘] 나쁜 선례

    새해에도 별로 달라진 게 없어 보입니다. 국민은 최순실 없는 ‘최순실 청문회’에 이어 대통령 없는 ‘대통령 탄핵심판’과 마주하게 됐습니다. 오늘이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 첫 변론기

    중앙일보

    2017.01.03 06:00

  • [월간중앙 1월호]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키맨’ 고영태 11시간 마라톤 심경고백

    [월간중앙 1월호]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키맨’ 고영태 11시간 마라톤 심경고백

    최순실 게이트라는 판도라 상자를 열어젖힌 ‘키맨’이자 최씨의 동업자였던 고영태 씨가 월간중앙에 11시간에 걸쳐 최근 벌어지고 있는 최순실 게이트와 관련해 자신의 심경을 토로했다.

    온라인 중앙일보

    2016.12.21 15:40

  • 국민 분통 터트린 세 장면

    국민 분통 터트린 세 장면

     ━ 정우택, 비박 나경원 꺾고 선출 새누리당이 ‘도로 친박당’이 됐다. 박근혜 대통령이 ‘촛불 민심’에 의해 직무정지 상태에 들어간 상태지만 16일 새누리당 원내대표 경선에서 웃

    중앙일보

    2016.12.17 01:54

  • [미리보는 오늘] ‘좀비 연대’ 부활하나

    [미리보는 오늘] ‘좀비 연대’ 부활하나

    좀비(zombie)는 공포 영화의 단골 소재이지만 한국에서는 명맥이 미미했습니다. 올해 1000만 관객을 돌파한 ‘부산행’이 최초의 좀비 블록버스터였지요. 그래서일까요, 정치권에서

    중앙일보

    2016.12.13 05:03

  • 前검사장 등 시민단체 '검찰총장 탄핵' 추진

    前검사장 등 시민단체 '검찰총장 탄핵' 추진

    `부패청산의병연합` 회원들은 7일 오후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마당에서 출범식을 열고 부패척결활동을 전개하기로 했다. [사진제공=부패청산의병연합]전직 검사장을 비롯한 인사들이 부정부

    중앙일보

    2016.09.07 19:58

  • 백인 강간범 봐주기 판결… “판사 탄핵” 들끓는 미국

    백인 강간범 봐주기 판결… “판사 탄핵” 들끓는 미국

    여성을 캠퍼스에서 성폭행한 명문대 엘리트 운동선수에게 선고된 징역 6개월. 또 하나의 ‘판결 특혜’에 미국 사회가 들끓고 있다. 사건은 2015년 1월18일 새벽 1시께 일어났다.

    중앙일보

    2016.06.09 01:53

  • 대통령 고유권한 인정하되 과정 공개로 의혹 없애야

    대통령 고유권한 인정하되 과정 공개로 의혹 없애야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4일 주재한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대통령 특별사면제도의 개선을 주문했다. 박종근 기자 관련기사 프랑스,

    중앙선데이

    2015.05.10 00:16

  • 문재인 6연승 … 누적득표 과반엔 미달

    문재인 6연승 … 누적득표 과반엔 미달

    2일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 민주당 합동연설회가 열렸다. 연설을 마친 손학규 후보(오른쪽)가 문재인 후보와 악수하고 있다. 문재인 후보 왼쪽은 김두관 후보. [오종택 기자] 민주통

    중앙일보

    2012.09.03 02:13

  • [뉴스 클립] Special Knowledge 헌법재판소

    [뉴스 클립] Special Knowledge 헌법재판소

    행정부처를 충남 연기·공주 일대로 옮기자는 ‘수도 이전 논란’을 기억하시나요? 노무현 정부가 취임 초기 신행정수도 이전을 야심차게 추진하다가 헌법재판소에 발목을 잡힌 것입니다.

    중앙일보

    2009.08.28 00:02

  • [맞짱토론] 4. 검증B, 줄 세우기, 염탐

    일시: 2007년 4월 25일 오후 2시30분-4시30분 장소: 중앙일보사 6층 회의실 주최: 중앙SUNDAY 사회: 최훈 중앙SUNDAY 정치 에디터 토론자: 한나라당 정두언ㆍ유

    중앙일보

    2007.04.29 03:15

  • 한나라 "정치검찰 수사 무효"

    민주당 이해찬(李海瓚)의원 발언의 진원지로 알려진 서울지검 특수1부 박영관(朴榮琯)부장검사가 22일 검찰 인사에서 유임되면서 파문은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되고 있다. 한나라당은 이

    중앙일보

    2002.08.23 00:00

  • 권력형 부정부패 맹공 國調·청문회 강력 촉구

    한나라당이 연말 대선까지 지속적으로 끌고 가려는 이슈는 '김대중(金大中·DJ)정권의 권력형 부정부패' 문제다. 한나라당 지지기반인 영남을 중심으로 강하게 형성돼 있는 '반(反)D

    중앙일보

    2002.07.19 00:00

  • 공무원 식사대접은 뇌물

    참여연대.경실련.행정개혁시민연대 등 12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부패방지 제도입법 시민연대' 는 20일 부패방지법.자금세탁방지법 공동안을 발표했다. 9월 정기국회때 입법청원해 4년째

    중앙일보

    2000.07.21 00:00

  • 시민단체 '부패방지법' 공동안 발표

    참여연대.경실련.행정개혁시민연대 등 12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부패방지 제도입법 시민연대' 는 20일 부패방지법.자금세탁방지법 공동안을 발표했다. 9월 정기국회때 입법청원해 4년째

    중앙일보

    2000.07.21 00:00

  • [검찰파동] 시민단체 '김총장 탄핵청원'

    법무부가 2일 발표한 검찰개혁과 법조비리 근절대책에 대해 시민단체들은 "지엽적인 개선책만 언급, 핵심을 비켜간 미봉책" 이라 평가하고 탄핵청원 등 검찰 수뇌부 퇴진운동도 펼치기로

    중앙일보

    1999.02.03 00:00

  • 헌법개정안 전문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민국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 불의에 항거한 4·19민주이념을 계승히고 조국의 민주개혁과 평화적통일의 사명에 입각하여

    중앙일보

    1987.09.08 00:00

  • 민주당 대통령 직선제 개헌안 시안

    제72조 ①대통령과 부통령의 임기는 4년으로 한다. ②대통령은 1문에 한하여 중임할 수 있다. 제73조 대통령과 부통령이 궐위되거나 사고로 인하여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국

    중앙일보

    1987.07.15 00:00

  • 민주당 대통령 직선제 개헌안 시안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들 대한국민은 3·1운동의 독립정신위에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건립하였고 이 법통을 이어받아 제1공화국을 재건하였으며 4·19의거와 5·18 광주의거로

    중앙일보

    1987.07.14 00:00

  • 국회헌특위에 제출된 민정당 개헌안

    전문 『3·1운동의 숭고한 독립정신과 「4·19 민주이념을 계승」하고』, 『제5공화국의 「새로운」출발에』, 『자율과 조화를 바탕으로」 자유민주적』, 『1948년 7월 12일에 제정

    중앙일보

    1986.08.25 00:00

  • (34)잃어버린36년|발굴자료와 새증언으로 밝히는 일제통치의 뒷무대

    임시정부는 3·1운동의 직접적산물이자 최대의 성과였다. 또한3·1운동의 비조직적 성격을 반성하고 장기적인 독립운동의 지도력을 확립하기위한 통일조직은 당위이기도 했다. 임시정부는 처

    중앙일보

    1983.12.19 00:00

  • 고증 아쉬움 남긴 광복특집

    광복절 기념 특집극은 일제치하를 겪지않은 해방뒤 세대들에 민족의 수난을 일깨워 주자는데 큰 목적이 있을 것 같다. 그러려면 진실된 역사기록과 그 때의 분위기를 바르게 표현하는 고증

    중앙일보

    1982.08.17 00:00

  • 국회특위가 만든 개헌안

    국회 개헌안이 전문과 부칙 2개 조항을 제외하고는 조문화 작업이 마무리되고 있다. 개헌특위는 21일부터 전체회의를 열어 3개 소위활동을 통해 합의된 내용을 중심으로 조문화한 것을

    중앙일보

    1980.04.15 00:00

  • 범례

    ①「고딕」은 신설 또는 내용이나 자구 수정된 부분임. ②괄호 안의 「제1공」은 48년 제정된 첫 헌법규정을 의미하며, 「제2공」은 60년 민주당 정부때, 「제3공」은 「5·16」후

    중앙일보

    1980.01.19 00:00

  • 개헌에 관한 각계공청회와 토론회 등이 활발히 전개되는 가운데 김철수 교수 등 「6인 헌법연구회」는 한발 앞서 새 헌법시안을 만들었다. 중앙일보는 이 시안을 입수해 1백28조와 부칙

    중앙일보

    1980.01.1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