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91)모과

    『주독을 풀어 담을 제거한다. 이것을 먹으면 악심이 사라지고 심중의 산수를 정지시킨다. 구워먹으면 이(설사)에 특효이고 기름에 적셔 머리를 빗으면 백학과 적발을 고쳐준다. 모과에

    중앙일보

    1972.10.30 00:00

  • 월동 준비

    집안의 나무와 화초들의 1년 중 가장 어려운 시련기에 속하는 추운 겨울을 무사히 나기 위한 준비를 서둘러야 할 때다. 화단도 정리하고 화초들은 내년을 위해 보관과 손질 비료 주기

    중앙일보

    1972.10.21 00:00

  • 추석 꽃꽂이

    무게 있는 곱돌 화기에 선이 가늘고 자상한 까치밥꽃 덩굴을 주제로하여 노랑소국 20송이를 곁들여 꽂았다. 까치밥 꽃 덩굴은 언뜻 보기에 서로 엉킨 듯 하지만 자연의 법도에 따라 질

    중앙일보

    1972.09.21 00:00

  • 한국 근대 미술 60년전 그 의의와 전시작품들

    「한국근대미술 60년전」이 27일∼7월26일 한달 동안 경복궁 안에 있는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다. 문공부가 마련한 이 전시회는 1900년부터 1960년까지의 한국근대미술의 대표작

    중앙일보

    1972.06.26 00:00

  • 장마철에 대비한 저원 손질

    무덥고 습기찬 장마철을 건강하게 보내고 가을에 풍성한 꽃을 피우도록 제각기 꽃과 나무의 성질에 따라 자상한 손질이 필요한 시기이다. 한평의 화단이나 아파트 창가의 한그루 화분이 라

    중앙일보

    1972.06.15 00:00

  • (52)우엉·연 뿌리

    우엉과 연 뿌리는 둘 다 탄수화물이 주성분인 알칼리성 식품이다. 우엉은 국화과에 속하는 근채류. 유럽이 원산지로 중국을 경유해 우리 나라에 전해진 듯하다. 봄과 가을에 파종하나 첫

    중앙일보

    1972.05.06 00:00

  • (318)이국의 정열 가득히「튤립」만발

    땅 위에 처음 핀 「튤립」은 왕관 모양을 했었다. 잎은 긴칼을 닮았고 황금을 연상케 하는 노란 빛깔이었다. 꽃의 여신 「플로라」가 청순한 어떤「네덜란드」소녀의 슬픈 넋을 위로하기

    중앙일보

    1972.04.29 00:00

  • 연해주의 한국이민|고승제 박사의 사회사적 분석에서

    만주와 그 동부 연해주는 우리 민족사에 있어서 밀접한 관련을 가진 지역이다. 고조선이래 부여·고구려·발해 등 한민족의 옛 강토였을 뿐 아니라 한말·일제시대의 한국이민의 서식처였고

    중앙일보

    1972.02.25 00:00

  • 미·중 관계 2백년사

    미국의 대 아시아 외교정책 사는 중국·일본·러시아의 그 어느 한 나랄도 전 아시아를 제압하거나 흡수하지 못하도록 번갈아 가며 중·일·노(소)와 제휴하거나 견제, 이들간의 세력균형을

    중앙일보

    1972.02.19 00:00

  • 아름다운 가을

    생각하면서 사는 사람에게는 세상이 슬픔이며, 느끼면서 사는 사람에게는 즐거움이라는 말이 있다. 하지만 세상을 보면서 사는 사람에게는 모든 것이 새로움이며 기쁨이다. 봄철에는 꽃이

    중앙일보

    1971.10.05 00:00

  • 고궁 가을 맞이 행사

    문화재 관리국은 가을을 맞아 10월1일부터 고궁 가을 맞이 행사를 마련했다. 창경원▲반공전시회(1일∼20일, 반공연맹 서울지부주관) ▲코끼리 등 예능공개(20일 이후) 덕수궁▲한가

    중앙일보

    1971.09.30 00:00

  • 주말을 적시는 가을비 촉촉이…

    입추(24일)가 지나자 수온주가 서서히 내려가기 시작하는 가운데 짓궂은 가을비가 사흘째 내려 가을에 깊어 간다. 23일부터 내리기 시작한 비는 25일에도 온종일 계속될 것 같고 새

    중앙일보

    1971.09.25 00:00

  • 흐루시초프 장례

    【모스크바13일 로이터동화】소련을 11년 동안 지배하면서 평화 공존의 길을 닦아 놓았던 전 소련 공산당 제1서기 겸 수상 「니키타·세르게이에비치·흐루시초프」는 13일 아무런 공식

    중앙일보

    1971.09.14 00:00

  • 꽃과 나무의 계절 7월 꺾꽂이의 요령

    단시일 안에 큰 화초를 얻고 한번에 많은 꽃나무를 번식시키는 데는 꺾꽂이가 좋은 방법이다. 그리고 꺾꽂이는 습도와 온도가 높은 7월이 적기다. 꺾꽂이의 몇 가지 요령과 화초 가꾸기

    중앙일보

    1971.07.16 00:00

  • 가을이 뿌리내리는 6월 국화 꺾꽂이

    국화를 꺾꽂이해야 할 무렵이다. 꽃송이 하나하나를 보기 위한 대국이나 현애를 만들 소국 등 가을에 아름답고 건강한 꽃을 피우기 위해서는 6월 초순에 꺾꽂이로 새 뿌리를 내려줘야 한

    중앙일보

    1971.06.08 00:00

  • 화단 손질은 이렇게-봄을 심는다 &밭갈이는 30∼45㎝깊이로|장미 등의 볏짚 풀어 일찍 싹트는 것 방지|이식한 나무는 뿌리 풀은 위에 걸음 주고

    3월은 그해의 가정원예를 계획하여 첫 실천에 옮기는 달이다. 한뼘의 땅이라도 버려두지 말고 흙을 일구어 나무를 심고 꽃을 가꾸어 밝고 즐거운 분위기를 만들자. 가정에서 봄에 해야할

    중앙일보

    1971.03.04 00:00

  • 연휴의「가을 행락」백만

    연휴가 겹친 주말에 전국에서는 1백 만명 이상의 등산객, 태공 등 소풍 객이 단풍이 물들기 시작한 산과 들을 찾아 붐볐다. 섭시 10도∼20도까지의 알맞은 기온에 맑은 날씨가 계속

    중앙일보

    1970.10.05 00:00

  • 가을 화단 손질|구근 저장과 봄 꽃씨 뿌리기

    샐비어, 과꽃, 국화 등 가을꽃이 한창인 꽃밭 한편에는 글래디올러스 칸나 달리아 등 여름 꽃이 시들어가고 있다. 철지난 꽃의 구근을 캐어 저장하고 겨울과 내년 봄을 위해 씨뿌리기,

    중앙일보

    1970.09.21 00:00

  • 높고낮은 두가지 용기를 사용|모종은 꽃집에서 싱싱한 걸로

    【질문】[아파트] 3층에 살고 있는 신혼주부인데 봄이 오니 꽃밭을 만들고 싶어요. 작은[테라스]가 하나 있고 창가엔 햇빛이 잘 드는데 여기다 꽃을 심을 수 없을까요. (서울 정릉

    중앙일보

    1970.03.06 00:00

  • 노란 국화앞에서

    ○…찬거리릍 사러 시장 어귀로 들어서는데 입구에 사람들이 옹기종기 모여있기에 하도 이상해서 빨리 걸어 고개를 기웃거려 보았다. 새로 잡아온 생선을 파는 생선장수인가 했더니 그게 아

    중앙일보

    1969.10.09 00:00

  • 오늘 단군기원 4천3백2년

    3일은 개천절. 단군이 하늘을 열어 우리겨레가 살아온지 4302주년의 날. 서울을 비롯한 전국에서는 국화향기 그윽한 속에서 간소한 기념식이 열렸으며, 시민들은 가을의 공휴일을 들과

    중앙일보

    1969.10.03 00:00

  • 국화속에 수확의 10월

    ○…10월은 높푸른 하늘아래 국화향기 그윽한 수학의 계절. 농촌에서는 1년내 땀흘려 가꾼 알찬 오곡과 갖가지과일을 거둬 들이는 일손이 한층 힘차고, 찬이슬과 서리가 온천지를 단풍으

    중앙일보

    1969.09.30 00:00

  • 계절감의 회복

    가을은 하루하루 깊어진다 .노변 꽃가게에는 「코스모스」가 만발하다 .붐비는 번화가의 한모퉁이에도 국화가 은은히 피어있다. 회색의 도회지에서,각박한 시간속에서, 모처럼의 맑은 햇살속

    중앙일보

    1969.09.23 00:00

  • 백로

    ○…8일은 백로-.한결 높아진 하늘아래 아침저녁으로 소슬바랍이 제법 선선해졌다. 노염이물러가자 여름내들끓었던 유원지도 이제는 한산. 국화송이에 가을이 부풀어 피어나자 제비Ep는 다

    중앙일보

    1969.09.0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