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分道楊? -분도양표-

    分道楊? -분도양표-

    한자 표(?)는 말의 입에 물리는 작은 재갈과 고삐를 연결하는 양쪽의 고리, 즉 스내플 비트(snaffle bit)를 뜻한다. 양표(揚?)는 이 고리를 들어 올려 말을 몰아 앞으

    중앙선데이

    2016.09.11 00:18

  • 南面 -남면-

    南面 -남면-

    중국 전국시대 법가 사상가인 한비자(韓非子)의 저서 『한비자(韓非子』 ‘남면(南面)’이라는 말이 나온다(제18장). ‘군주가 정사를 볼 때 신하들이 앉아 있는 남쪽으로 얼굴을 향

    중앙선데이

    2016.09.04 00:18

  • ?伴 -화반-

    ?伴 -화반-

    북위(北魏)는 선비(鮮卑)족인 탁발규(拓跋珪)가 서기 386년에 세운 국가다. 중국 남북조(南北朝)시기 북조(北朝)의 첫 번째 왕조다. 효문제(孝文帝)는 즉위하자 나라의 도읍을

    중앙선데이

    2016.08.28 00:18

  • 亡命 -망명-

    亡命 -망명-

    북한을 빠져나와 자유 대한의 품에 안기는 사람들을 우리는 흔히 탈북자(脫北者)라고 적는다. ‘탈북’이라는 단어는 근래에 만들어진 새 조어다. ‘북한을 빠져나오다’는 뜻이다. 탈북

    중앙선데이

    2016.08.21 00:18

  • 常山率然 -상산솔연-

    常山率然 -상산솔연-

    ‘어떻게 하면 전쟁에서 이길 수 있을 것인가.’ 병법가 손무(孫武·BC544~BC496)의 최대 관심사였다. 『손자병법(孫子兵法)』은 용병의 원칙을 설명하면서 ‘상산의 솔연(常山

    중앙선데이

    2016.08.07 00:18

  • 剪草除根 -전초제근-

    剪草除根 -전초제근-

    ‘삼십육계 줄행랑(三十六計 走爲上計)’이란 말이 있다. 강한 적을 만났을 때는 도망치는 게 상책이란 이야기다. 중국 고대 병법을 36가지로 정리한 『삼십육계』의 대미를 장식하는

    중앙선데이

    2016.07.31 00:18

  • 烏有 -오유-

    烏有 -오유-

    초(楚)나라가 자허(子虛)를 사자(使者)로 제(齊)나라에 보냈다. 제나라 왕은 자허와 사냥을 나갔다. 사냥에서 돌아온 자허에게 오유(烏有)가 물었다. 오유: “사냥은 즐거웠나?”

    중앙선데이

    2016.07.17 00:18

  • 遠交近攻 -원교근공-

    遠交近攻 -원교근공-

    원교근공(遠交近攻)’은 외교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도 자주 인용되는 성어다. ‘먼 나라와는 친하게 교류하고, 가까운 나라는 공격으로 굴복시킨다’는 뜻이다. 이 성어는 특정 국면

    중앙선데이

    2016.07.10 00:18

  • 乞骸骨 -걸해골-

    乞骸骨 -걸해골-

    거지를 중국에선 ‘치가이(乞?)’라 부른다. 걸(乞)이나 개(?) 모두 ‘빌다’는 뜻을 갖는다. ‘걸해골(乞骸骨)’을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해골을 구걸한다’는 의미가 된다. 나

    중앙선데이

    2016.07.03 00:18

  • 朋友圈 -붕우권-

    朋友圈 -붕우권-

    “중국인은 줄곧 믿음을 말해왔다. 2000년전 공자(孔子)는 ‘사람이 믿음이 없으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알 수 없다(人而無信 不知其可也).’ 신임은 사람과 사람 관계의 기초다.

    중앙선데이

    2016.06.19 00:18

  • 亡懲 -망징-

    亡懲 -망징-

    나무가 부러지는 이유는 바람에 있고, 벽이 무너지는 까닭은 비(雨)에 있다. 그러나 생생한 나무는 쓰러지지 않고, 튼튼한 벽은 비에도 견딘다. 벌레 먹은 나무, 틈새가 벌어진 벽

    중앙선데이

    2016.06.12 00:18

  • 革命 -혁명-

    革命 -혁명-

    중국과 대만에서 모두 국부(國父)로 추앙하는 쑨원(孫文)은 1895년 광저우(廣州)에서 반청(反淸) 무장봉기를 준비했다. 정보가 사전에 새어 나가 거사는 실패했다. 일본으로 망명

    중앙선데이

    2016.05.22 00:18

  • 衆寡不相時 -중과불상시-

    衆寡不相時 -중과불상시-

    전쟁이 벌어지면 승자와 패자가 있게 마련이다. 승패를 가르는 요인은 무엇일까. 중국 춘추전국시대 병법의 대가였던 손무(孫武)는 ‘상대방이 강해서가 아니라 내가 약하기 때문에 패배

    중앙선데이

    2016.05.15 00:18

  • 낯선 시장과 박물관에서 영감, 문화와 전통에서 미래 길어올려

    낯선 시장과 박물관에서 영감, 문화와 전통에서 미래 길어올려

    알란 찬이 2009년 꾸민 중국 광저우의 베지테리언 레스토랑 수청자이. 마카오 그랜드 리스보아의 프렌치 레스토랑 ‘로부숑(Robuchon)’의 실내. 베이징의 ‘더 반(The B

    중앙선데이

    2016.05.01 00:09

  • 瑯?榜 -낭야방-

    瑯?榜 -낭야방-

    옛날 제(齊)나라 경공(景公)이 안자(晏子)에게 물었다. “전부산(轉附山)과 조무산(朝?山)을 둘러보고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와 낭야(琅邪)에 이르고자 하는데, 어떻게 해야

    중앙선데이

    2016.04.24 00:18

  • 人道敏政 地道敏樹 -인도민정 지도민수-

    人道敏政 地道敏樹 -인도민정 지도민수-

    총선이 끝났다. 처음 정치에 입문하게 될 초선 의원들은 지금쯤 ‘정치란 무엇인가’를 놓고 고민하고 있을 터다. 20대의 젊은 왕 애공(哀公)이 세상을 주유하고 고국 노(魯)나라로

    중앙선데이

    2016.04.17 00:18

  • 公生明 廉生威 -공생명 염생위-

    公生明 廉生威 -공생명 염생위-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해외 순방에 나설 때마다 항상 그 곁을 지키는 두 명의 인물이 있다. 한 사람은 왕후닝(王?寧) 당 중앙정책연구실 주임이고 다른 한 사람은 리잔수

    중앙선데이

    2016.04.10 00:18

  • 和悅而諍 -화열이쟁-

    和悅而諍 -화열이쟁-

    공자(孔子)는 상대와 장소에 따라 말을 가렸다. “조정에 나아가 하대부와 이야기할 때는 화목하고 즐거웠으며, 상대부와 이야기할 때는 공손하면서도 정직한 태도였다(與下大夫言 侃侃如

    중앙선데이

    2016.04.03 00:48

  • 玉璽 -옥새-

    玉璽 -옥새-

    옥새(玉璽)는 황제가 쓰는 도장이다. 신하의 도장은 ‘印(인)’이라 했다. BC 228년 진시황(秦始皇)은 조(趙)나라를 멸망시킨 후 전설의 옥(玉)인 화씨벽(和氏璧)을 손에 넣

    중앙선데이

    2016.03.27 00:18

  • 簡除煩苛 -간제번가-

    簡除煩苛 -간제번가-

    중국 후한(後漢) 시절 유총(劉寵)이란 관리가 있었다. 학식이 뛰어난 부친 유비(劉丕)를 닮았던 그는 등용문인 효렴(孝廉)으로 천거 받았다. 이후 지금의 저장(浙江)성 사오싱(紹

    중앙선데이

    2016.03.13 00:21

  • 六尺巷 -육척항-

    六尺巷 -육척항-

    중국 안후이(安徽)성 둥청(桐城)시의 육척항(六尺巷) 골목이 북적인다는 소식이다. 중국의 설 특집 버라이어티쇼 춘완(春晩)에 ‘육척항’ 뮤직비디오가 방영되면서다. 둥청은 청(淸)

    중앙선데이

    2016.02.21 00:27

  • 百戰百勝, 非善之善 -백전백승, 비선지선-

    百戰百勝, 非善之善 -백전백승, 비선지선-

    중국 춘추전국시대 전략가 손무(孫武·BC 545~BC 470)는 병법서 『손자병법』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인물이다. 평생을 전장에서 보낸 그였지만, 온건한 평화주의자이기도 했다

    중앙선데이

    2016.02.14 00:27

  • 無可奈何 -무가내하-

    無可奈何 -무가내하-

    떼를 쓰듯 고집을 부려 어찌할 수 없는 경우를 흔히 막무가내(莫無可奈)라고 말한다. 불가내하(不可奈何)나 막가내하(莫可奈何), 또는 무가내하(無可奈何)라고도 한다. 중국 전한(前

    중앙선데이

    2016.02.06 02:27

  • 勞而無功 -노이무공-

    勞而無功 -노이무공-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연초부터 중동 3개국을 순방했다. 백미(白眉)는 이집트 카이로의 아랍연맹 본부에서의 연설이었다. “천하라는 올바른 위치에 서며, 천하라는 커다란

    중앙선데이

    2016.01.31 0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