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일부의원, 임장관 사퇴 간접지지

중앙일보

입력

31일 오전에 열린 민주당 당4역.상임위원장단 연석회의에서는 임동원 통일부 장관의 경질여부를 놓고 참석자들간에 논란이 벌어졌다.

임장관에 대해 공동여당인 자민련이 자진사퇴를 요구한 가운데 회의에서 일부 의원들은 '양당의 공조' 를 강조함으로써 임장관 사퇴를 간접적으로 지지했다. 이에 대해 "임장관의 사퇴는 김대중 정부 대북정책의 근간을 무너뜨리는 것" 이라며 정면대결해야 한다는 반론이 이어졌다.

전용학 대변인은 회의가 끝난 뒤 "해임안 제출은 국민의 정부 대북정책을 훼손하려는 한나라당의 정치공세에 불과하다. 임장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국민의 정부의 근간을 흔들려는 것이다. 우리는 자민련과 시간을 갖고 꾸준한 대화로 이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이다. 자민련의 선택과 태도를 예의 주시하고자 한다" 고 발표했다.

다음은 전대변인의 회의발언록 브리핑 내용.

-------

▶김중권 대표 = 8월 국회가 끝나고 정기국회가 내일부터 시작되면서 매우 중요한 시점이다. 그동안 민주당과 자민련의 이른바 DJP공조를 통해 국정을 운영해왔다. 임동원 장관 문제로 공조에 어려움을 겪는 것처럼 국민에게 비춰진다. 이 국면을 원칙을 지키면서 슬기롭게 극복해 나가자.

▶정세균 기조위원장 = 임장관 해임은 대북정책의 후퇴와 변화로 비춰진다. 기본이 흔들리면 안된다. 해임은 불가하다.

▶정균환특보단장 = 이번 임장관 사태는 야당이 여당 전체에 흠집내려는 것이다. 만일 임장관 해임안 표결로 가결되면 김대중 대통령에게 레임덕이 온다. 해임안 표결을 쉽게 응할수 없다. 자민련을 설득해야 한다.

▶이협 총재비서실장 = 민족문제가 토론이 아니라 표결로 결판이 나야하는 정치를 극복해야 한다. 타협하는 것도 집권당의 책임이다. 민주적 리더십으로 (자민련과) 화해와 협력으로 가야한다.

▶장성원의원 = 해임안 표결은 위험하다. 자민련의 태도를 누그러뜨려야 한다.

▶박상규사무총장 = 자민련을 자극하면 안된다. 햇볕정책은 민주당과 자민련이 공동시행한 것이다. 한나라당이 이를 깨려고 하는 것이다.

▶이해찬정책위의장 = 오는 9월과 10월중순이 남북.북미관계의 향방에 결정적으로 중요한 시기다. 임장관 개인문제가 아니라 국민의 정부의 근간문제다. 자민련을 설득해야 한다.

▶김태홍의원 = 이번 평양 축전은 긍정적 측면도 적지 않았다. 이를 부각해서 국민들에게 전달해야 한다.

▶천용택의원 = 이번에 도쿄에서 자민련 김종필 명예총재도 만나 얘기를 들었는데 너무 언론을 통해 전달되는 내용에만 의존하면 안된다. 신중하게 대응해야 한다.

▶유용태의원 = 자민련에게 공조가 뭔지를 설득해야 한다. 과거를 돌이켜보면 대응이 미숙해서 손해를 많이 봤다. 옷로비때도 그랬다.

김종혁 기자 <kimch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