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조피해 어류폐사 규모 놓고 논란

중앙일보

입력

남해안에 적조로 인한 어류의 집단폐사 규모를 놓고 수산당국의 공식집계와 어민들이 느끼는 체감 피해규모가 큰 차이를 보여 향후 피해보상 과정에서 마찰이 예상된다.

30일 현재 경남도는 어류폐사 규모를 152만7천여마리로 발표했지만 어민들은 통영지역에서만 최소 300만마리를 넘어섰다고 주장하고 있다.

  통영시 산양읍 연화리 연명어촌계의 경우 전체 5ha의 가두리 어장에서 지난 26일부터 현재까지 최소 200만마리가 폐사했다는게 주민들의 주장이다.

  이 곳 어민들은 어장의 90%가 적조로 초토화돼 이같은 추산이 근거없는 것이 아니라고 설명하고 있다.

또 통영해역에서 처음 적조가 엄습한 사량도 해역의 가두리양식장에서 폐사한 고기만도 최소 10만마리이상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욕지도를 비롯 일부 가두리에서는 현장조사 공무원들의 손길이 달려 피해상황이 제대로 집계되지 않고 있다.

어민들은 "현재 수산당국의 피해집계는 물위에 떠오른 물고기만 집계하고 있다"며 "죽어 물밑으로 가라앉은 것이 더 많다"고 주장했다.

해수어류양식수협의 한 관계자도 "현재 피해규모는 수산당국에서 파악한 것에 최소 두 배는 더 될 것"이라며 "현장조사요원의 부족으로 이같은 차이가 발생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통영시는 "피해규모의 차이는 단지 집계 시점상의 차이일뿐 나중에는 어민들의 주장과 비슷한 집계결과가 나올 것"이라며 "물밑에 가라앉아 죽은 것도 신고가 들어오면 현장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통영=연합뉴스) 이종민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