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ER "한국, IMF 조기졸업 불구 갈길 멀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한국은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 차관을 전액 상환하기는했지만 한국이 처한 경제현실은 여전히 새로운 도전과 위기를 내포하고 있다고 파이스턴 이코노믹 리뷰(FEER)지가 9월6일자 최신호에서 보도했다.

이 잡지는 한국은 아시아지역이 처했던 금융위기로부터 일단은 탈출한 듯 보이지만 최근의 경제지표들을 볼때 여전히 세계 경제의 하강 국면속에 발이 묶여 갈길이 멀다는 지적이 높다고 말했다.

한국경제의 수출 의존도가 높은 특성상 반도체 부문의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인한 수출 둔화세를 비켜갈 수 없다는 점이 가장 큰 요인으로 지목됐다.

올해 2.4분기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한국은행(BOK)의 당초 전망치인 3.3%보다 낮은 2.7% 에 그쳐 3년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특히 7월의 수출액은 20%나 줄어 기록적인 감소율을 보였다.

애널리스트들은 한국의 3.4분기 경제성장률이 이 같은 감소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1.5% 성장하는 데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삼성경제연구소의 김경원 이코노미스트는 "올해 남은 기간에 핵심적인 문 제는 위기에 휩싸인 대기업이 어떻게 굴러갈 것인가에 있다"면서 "특히 유동성 위기가 큰 문제로, 이는 소비자 및 투자심리에 더욱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논평했다.

한국정부는 그러나 앞으로 경기가 향상될 것이라는 희망을 갖고 있다. 계절적인 요인을 감안한 2.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민간소비의 증가에 힘 입어 0.5%포인트 더 증가했기 때문이다.

한국 정부는 경쟁국인 대만과 싱가포르에 비해 GDP성장률이 더 호전됐다며 하반기에 재정지출을 10조원으로 늘리고 세금감면을 실시할 것을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김경원 이코노미스트는 "가장 중요한 것은 한국경제가 반도체 수출 의존을 벗어나는 것"이라며 반도체가 수출의 15%를 차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반도체를 사용하는 제품들을 포함한다면 그 의존도는 25%로 오를 것"이라고 덧붙였다.(서울=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