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총재 "현재로선 하이닉스지원 계획 없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건용 산업은행 총재는 29일 "현재로서는 신규자금지원 등 하이닉스반도체에 대한 지원 계획이 없다"며 "확실한 사업전망이 포함된 채무재조정안이 마련된다면 지원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정 총재는 이날 오후 산업은행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정 총재는 "현재 채무재조정 방안이 하이닉스를 살릴수 있는 방안인지 아닌지에 대해 판단하기 어렵다"며 "하이닉스에 대한 판단기준은 분명한만큼 회생가능하다는 생각이 들면 확실히 살리고 가능성이 없다면 끝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하이닉스 지원안은 채권은행단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하는데다 투자자와 시장도 믿고 동의할만한 안이 마련돼야 한다 "며 "채무재조정 최종안은 조만간 열릴 채권단 대표자 회의에서 결정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하이닉스 재정주간사인 살로먼스미스바니(SSB)처럼 공신력있는 기관에서 객관적인 자료를 마련해 채권단을 상대로 구체적인 설명을 해야 한다"며 "이를 토대로 채권은행들이 모여 지원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하이닉스의 신속인수제 종료와 관련 "회사채 신속인수제도는 유동성에 일시적 어려움이 있지만 근본적으로 회생가능한 기업에 적용된다"며 "신속인수제가 적용되고 신디케이트론 10억달러가 지원될 당시의 시장상황에서는 하이닉스에 큰 문제가 없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회사채 신속인수제는 기업회생이 가능할지 아닐지 모르는 상황에서는 적용될 수 없는 제도"라고 덧붙였다.

그는 하이닉스 지원에서 '프리라이더'가 생겨선 안된다며 투신권을 비롯해 해외채무자도 마찬가지라며 공평한 손실분담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대우차 매각협상과 관련해 "정부와 교감이 있을만큼 진행된 것은 아니다"며 "위탁경영은 일반론적으로 볼 때 과도기적인 비상계획(Contingency Plan)은될 수 있어도 근본적은 해결책은 아니다"고 밝혔다.

정 총재는 "위탁경영의 장점은 공장가동이 이뤄진다는데 있다"며 "가치를 제고시키는 작업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그는 "세계 자동차 시장의 판도를 감안해볼 때 궁극적인 해결책은 매각 뿐"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GM과의 접촉은 계속 유지되고 있다"며 "매각협상은 논리적인 이견차를 좁혀가면서 진행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인수범위와 세금감면 등 GM의 요구사항에 대해 채권은행과 조율을 거친뒤에야 정부측과도 얘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매각협상은 순전히 산업은행의 몫인만큼 정부의 희망사항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 아니다"며 "이달말까지 매각협상을 끝낸다는 시한을 정해놓지 않았지만 조속한 시일내 협상을 완료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서울=연합뉴스) 정윤섭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