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1.7배 … 평택 브레인시티 없던 일 되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경기도 평택시가 ‘국내 첫 대학 중심 도시’ 건설을 목표로 추진해온 브레인시티 개발사업이 백지화될 위기에 놓였다.

 경기도는 브레인시티 사업 시행자인 브레인시티개발㈜이 보상 공고 기한인 지난달 말까지 사업비 조달계획서를 제출하지 못했다고 6일 밝혔다. 청문회 등 지구지정 해제를 위한 행정절차가 끝나기 전까지 계획서를 내지 못하면 사업은 취소된다.

 브레인시티 개발사업은 2007년 6월 평택시가 주도하고 경기도와 성균관대 등이 참여해 시작됐다. 총 사업비 1조8000억원을 들여 여의도 면적의 1.7배에 달하는 482만4900여㎡에 성균관대 제3캠퍼스와 산학 연구단지, 기업 등을 조성하는 게 핵심 내용이다.

 지구지정과 사업 승인 등 행정절차는 2010년 4월에 끝났지만 토지 보상은 아직 착수되지 않았다. 1조4000억원에 달하는 보상비를 마련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브레인시티개발㈜은 사업 파트너인 평택시가 총 사업비의 20%(3600억원) 투자를 약속해야 금융권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성균관대의 투자지분 10%를 더해 총 사업비의 30%만 우선 확보하면 미리 분양이 가능해 자금 조달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평택시는 투자하기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평택시 기업지원과 관계자는 “브레인시티개발 측의 투자요구액은 평택시가 연간 쓸 수 있는 예산(8000억원)의 절반 정도에 해당한다”며 “재정 형편상 엄청난 비용을 부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사업 추진이 지연되자 주민들은 “5년 동안 재산권 행사를 못했다”며 반발하고 있다. 보상을 믿고 대출을 받은 상당수 주민들은 빚에 허덕이고 있다는 것이다.

농민 1400여 명으로 이뤄진 주민대책위는 “자치단체라도 나서서 사업 추진을 서두르지 않으면 주민들의 거센 저항에 직면할 것”이라고 말했다.

평택=유길용·최모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