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칼럼] 중소기업 지원정책 재정립돼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11면

중소기업은 성장과정에서 자원은 부족하지만 효율적 배분을 통해 조직성장, 시장확대, 경영패턴 변화 등 일정한 과정을 거치면서 다음 단계의 성장단계로 발전하게 된다.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은 당연한 목표지만 중소기업은 특히 환경요인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성장과정은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전략과 다양한 노력에 의해 이뤄진다. 따라서 중소기업 지원정책은 중소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른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는 수요자 중심의 지원정책으로 변화돼야 한다.

 그레이너는 1972년에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 소개한 논문에서 기업성장을 진화론적인 관점에서 설명했으며 1단계는 소규모로서 생산과 판매에 초점을 둔 창조의 단계로 ‘리더십의 위기(창업자의 위험)’가 오며 2단계는 운영효율성에 초점을 둔 지시의 단계로 전문적 경영자에 의한 권한집중형경영으로 인해 ‘자율성의 위기(자율성 상실 위험)’가 온다고 봤다. 3단계는 시장확대에 초점을 둔 위임의 단계로 권한위양과정을 통한 분권적경영으로 인한 ‘통제의 위기(통제력 상실 위험)’가 오며 4단계는 조직의 통합에 초점을 둔 조정의 단계로 분할통치 성장으로 ‘형식주의의 위기(관료주의 위기)’가 오고 5단계는 문제해결 및 혁신에 초점을 둔 협력의 단계로 ‘탈진의 위기’가 온다고 보았다.

 이처럼 중소기업은 대기업과는 달리 성장과정을 거치는 데에 있어 많은 성장통을 겪게 된다. 그러나 과거에 비해 지원분야별로 차별화된 정책을 구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아직도 지원제도의 활용에 대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중앙 및 지방정부에서 시행되는 중소기업 지원정책은 프로그램이 지나치게 다양해 수혜를 받는 기업의 입장에서도 혼동이 발생하고 그 효용성에 대해 많은 문제점이 제기돼 왔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중소기업지원의 창구일원화가 필요하며 현장수요를 적극 반영하는 방식으로의 지원정책 개선이 꾸준히 요구돼 왔다.

 중소기업 지원정책은 수요자 관점에서 중소기업의 애로사항과 니즈의 차이를 발굴해 왔으나 니즈에 따라 어떤 정책이 적합한 지에 대한 효율적인 방법론은 부족했다. 따라서 산업현장의 중소기업 수요에 적극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수요분석 수준을 산업별 다차원적인 산업별, 기술별(초기기술, 상용화된 기술), 지역별(전략산업, 특화산업), 기업특성(성장단계, 기업규모 등) 등 접근이 필요하다.

경종수 충남TP 산업기획팀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