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 만들어 정권교체” … 안철수, 입당할까 창당할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가 5일 오후 서울 영등포 당사에서 안철수 무소속 대통령 후보와의 단일화 회동과 관련한 질문에 답하고 있다. [김성룡 기자]

5일 무소속 안철수 대통령 후보는 ‘단일화 이후’ 상황까지 언급했다. 단일화를 통해 정권을 교체하곤 ‘국민연대’를 해야 한다고 밝힌 것이다. 안 후보가 단일화 이후 구상을 다소나마 거론한 건 처음이다.

 안 후보는 먼저 “1 더하기 1을 3으로 만들어 내는 정권교체를 이뤄야 한다”고 주장한 뒤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와 “가치와 철학이 하나 되고 미래를 바꾸는 단일화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단일화와 함께 새로운 시대를 염원하는 모든 세력이 새 정치를 향한 ‘국민연대의 과정’을 밟아야 한다. 그렇게 탄생한 새로운 정부는 미래정부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일화 3원칙(이기는 단일화, 가치의 단일화, 미래를 바꾸는 단일화) 중 세 번째 부분에 해당한다.

 ‘모든 세력이 새 정치로 연대’하는 국민연대를 할 경우 남는 건 방법론이다.

 국민연대를 위해선 먼저 안 후보가 자기 세력을 이끌고 민주당에 입당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현실적으론 대선 때 ‘기호 2번’을 달아야 한다는 필요성 때문이기도 하다. 물론 전제는 민주당의 쇄신이다. 대선 출마를 선언하며 정치혁신을 요구했던 안 후보는 이날 민주당도 조목조목 비판했다. “스스로 기득권을 내려놓는 모습 없이 어떻게 새누리당을 심판해 달라, 정권교체해 달라, 우리가 미래고 희망이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느냐”라거나 “개혁의 구호만 외쳐서는 개혁을 할 수도, 산적한 민생 현안을 풀 수도 없다. 국회의원의 각종 특권을 스스로 내려놔야 하는데 특권이 뭐 있는지 아나. 인터넷 찾아보면 알 수 있으니 몇 개 되는지 찾아봐라. 그래야 국민께 고통 분담을 호소할 수 있다”는 식이다.

 만약 안 후보가 단일화 승부에서 승리한다면 민주당 측에선 자당의 지지층을 투표장에 나오게 하기 위해서라도 입당을 압박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안 후보가 이런 선택을 할 것인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다른 방법도 있기 때문이다.

 일단 ‘더 큰 민주당’ 방식이 있다. ‘국민후보’로 대선을 치른 뒤 이길 경우 안 후보 진영과 민주당이 통합해 신당을 창당하는 거다.

 대선 후 ‘안철수 독자신당’을 만들고 민주당과 공동정부·연립정부를 통해 연대해 나가는 방안도 있다. 어느 경우든 ‘국민연대’라는 개념 아랜 최소한 ‘무소속 대통령’으로 남진 않겠다는 뜻이 담겨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여당의 뒷받침이 없는 무소속 대통령은 되지 않겠다는 것이다. 문 후보 측과 공동정부를 하든 연립정부를 하든, 집권 후엔 실체를 가진 정치세력으로 거듭날 거란 의미로 풀이된다.

문 후보로 단일화가 됐을 때도 비슷한 방안이 거론될 것으로 보인다. 문 후보는 지난 5월부터 “단순히 경쟁에서 이기는 사람이 후보가 되고 정권을 장악하는 차원이 아니라 함께 연합·공동정부를 구성하는 수준까지 가야 한다”며 ‘세력 통합’을 언급해 왔다.

양원보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