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취재] 여성호르몬 요법 득실

중앙일보

입력

여성호르몬 복용에 대한 폐경여성들의 궁금증이 무척 많다. 여성호르몬 요법을 꺼리는 가장 큰 이유는 유방암 우려다.

여성호르몬을 복용하면 유방암 확률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 때문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유방암 공포가 과장돼 있다고 강조한다.
확률은 높아지지만 미미한 수준이라는 것.

◇ 부작용 점검〓중앙대병원 용산병원 산부인과 박형무 교수는 "여성호르몬을 사용한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유방암 발생 확률이 연간 2.3%씩 증가하는 정도" 라고 말했다.

10년 동안 복용할 경우 23% 정도 증가하는 셈. 그러나 실제 국내 유방암 발생환자는 많이 잡아도 1천명당 5~6명 수준이므로 우리나라에서 여성호르몬 복용 때문에 유방암 환자가 생기는 경우는 10년 복용의 경우 1천명당 1명 정도라고 볼 수 있다.

나아가 상계백병원 산부인과 최훈 교수는 "여성호르몬 요법을 받는 여성은 유방암 검진을 철저하게 받으므로 조기 발견에 성공할 확률이 높아 유방암 사망률은 오히려 낮은 경향이 있다" 고 설명했다.

드물지만 자궁 내막암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지만 황체호르몬을 함께 투여함으로써 예방이 가능하다. 불규칙적인 자궁출혈이 생기지만 치료 시작 후 1년 정도 지나면 없어진다.

여성호르몬으로 체중이 증가한다는 것은 사실무근.

◇ 질병 예방효과 커〓부작용 논란에도 불구하고 폐경여성에게 여성호르몬 요법이 권장되는 이유는 실보다 득이 훨씬 크기 때문이다.

여성호르몬을 복용하면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 확률은 50%, 심장병 사망률은 30% 가량 낮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성호르몬이 뼈를 튼튼하게 하고 혈액을 맑게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대장암과 치매 예방효과가 있으며 여성호르몬 요법을 10년 동안 받게 되면 피부건강이 8년 정도 젊어진다는 보고도 있다.

우리나라 폐경여성의 여성 호르몬 복용률은 5~10%로 추정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