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지사 “도내 중소기업 러시아 진출 도울 것”

중앙일보

입력

경기도가 도내 중소기업의 러시아 정부 조달시장 개척에 물꼬를 튼다.

러시아를 방문 중인 김문수 경기지사는 25일 모스크바에 위치한 크라운플라자호텔에서 안톤 예멜랴노프 러시아 조달기관 UEMP(United Electronic Market Place) 대표와 ‘경기도-러시아 UEMP 양해각서 체결식’을 가졌다.

협약에 따라 경기도와 UEMP측은 도내 중소기업이 러시아 조달기관 사이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정보를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하기로 약속했다. 전국 지자체 가운데 러시아 정부조달기관과 제휴협약을 맺은 건 경기도가 처음이다.

지난 05년 상거래 장터로 출발한 UEMP는 09년 전자조달 사이트로 정식 설립돼 러시아 국가조달 물량의 15%를 맡고 있다. 러시아 5개 전자 조달기관 중 최대 규모의 온라인 트레이딩 시스템을 갖추고, 주로 러시아 교통청, 내무부, 도로청, 보건청, 과학아카데미, 소비자보호원, 대통령행정부 조달을 맡고 있다.

경기도는 이번 협약으로 도내 우수 의료기기가 러시아 조달시장으로 진출하는데 초점을 둘 방침이다. 경기도는 전국 의료기기 분야에서 40%를 차지하고 있을 만큼 우수한 기술력과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어 러시아 연방보건청 등에 진출을 타진하게 된다.

김 지사는 “러시아 최대 조달기관과 협약을 맺게 돼 대단히 기쁘다”며 “발달한 IT기술을 바탕으로 의료기기를 중심으로 IT기기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도내 기업들이 러시아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약속했다.

예멜랴노프 대표는 “IT가 매우 발달한 한국의 중심지 경기도와 협력하게 돼 기쁘다”며 “러시아는 국내외 기업이 동일한 조건으로 조달시장에 입찰하는데, 많은 훌륭한 경기도 기업들이 우리 전자조달에 참여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모스크바에 위치한 러시아기술공사 본사를 방문해 알료신 알렉세이 블라디스라보비치 러시아기술공사 제1부회장과 ‘경기도-러시아기술공사 기술투자 협약식’을 체결했다.

경기도는 향후 러시아기술공사 산하 공기업과 도내 중소기업간 합작투자를 통해 상품개발과 수출을 적극 지원에 나선다. 러시아기술공사는 세계적으로 앞선 기계 IT 우주항공 등 원천기술을 제공하고, 경기도 유망 중소기업은 제품생산화 능력을 앞세워 해외진출을 노린다.

지난 2007년 설립된 러시아기술공사는 러시아 GDP의 23%에 이르는 러시아 공기업 439개를 통합 관리하는 국영기업이다. 구소련부터 이어온 첨단기술을 개발하고 상품화해 생산과 수출 전반의 활동을 통합관리한다.

이번 협약식은 전날인 24일 김 지사가 러시아기술공사를 방문해 즉석에서 블라디스라보비치 러시아기술공사 부회장과 담판지어 하루 만에 전격 성사시켜 화제가 된 바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