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산자부 장관 파워콤 민영화 문제 협의

중앙일보

입력

양승택(梁承澤) 정보통신부 장관과 장재식(張在植) 산업자원부 장관은 14일 통신시장 재편과 관련, 시내 롯데호텔에서 조찬모임을갖고 한국전력 자회사 파워콤의 민영화 문제를 논의했다.

양 장관은 이 자리에서 기간망 사업자인 파워콤과 시내전화 및 초고속망 사업자인 하나로통신이 결합하는 것이 막대한 시너지 효과를 거두는 것은 물론 누적적자와중복투자의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는 통신시장 구조조정을 위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적극 피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이 자리에 함께 참석한 하나로통신 신윤식 사장은 하나로통신이 파워콤 수준으로 광기간망을 확충하고 파워콤도 하나로통신 만큼 광가입자망을 깔려면 각각 2조원 이상 투자해야한다며 양사 결합에 따른 시너지효과는 4조원대에 달하는만큼 국익차원에서 이를 적극 추진해줄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장 장관은 정통부와 하나로통신측의 의견에 대해 구체적 언급은 자제한채 국가경제적 차원에서 이를 적극 검토해보자는 입장을 취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찬회동에 불참한 한전 최수병 사장은 그러나 통신시장 개편과 관계없이 8월 10일까지 투자의향서를 받아 1차입찰을 거친 뒤 10월 중순께 최종입찰을 실시, 우선협상 대상자를 정해 11월중 경영권과 함께 전략적 제휴 지분 30%(4천500만주)를 넘긴다는 민영화 일정을 그대로 추진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전은 지난해 7월 파워콤 지분 경쟁입찰(20%)에서 포철과 SK측의 5%씩을 포함해 모두 10.5%를 매각한 뒤 지난해 9월말까지 전략적 지분 30%를 팔기로 했으나 인수자의 입찰자격을 놓고 국내 기간통신사업자로 한정하자는 정통부와 국내외 사업자로 하자는 산자부 사이에 이견이 발생, 한때 매각작업이 지연된 바 있다.

하나로통신측은 이에 따라 파워콤의 전략적 제휴지분 30%를 인수하기 위해 국내업체는 물론 미국, 일본 등의 외국업체까지 포함한 컨소시엄을 구성키로 하고 조동성 전무를 중심으로 그동안 활발한 물밑접촉을 해왔다.

한편 파워콤은 금년 4월말 현재 광케이블 기간망 5천564km, 광케이블 가입자망5만1천888km, 동축케이블 4만4천419km을 보유한 한국통신 다음의 기간통신망 사업자이다. (서울=연합뉴스) 류현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