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금융청 증권애널리스트 조사 나서

중앙일보

입력

일본 금융청이 7~8월중 전 증권사의 애널리스트(종목분석가)들에 대해 대대적인 실태조사를 벌인다고 12일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이 보도했다.

일본 금융당국이 전면 실태조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금융청은 주로 애널리스트들의 기업.종목 분석이 공정하게 작성됐는지 여부를 집중 조사하되 조작이나 내부자 거래 혐의가 드러나면 엄중 처벌할 방침이다.

금융청은 필요할 경우 계좌추적을 통해 개인 금융거래도 낱낱이 조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최근 일부 애널리스트들이 자신이 사둔 종목에 대해 호의적인 평가보고서를 내거나 기업과 짜고 불리한 평가를 감추는 등을 통해 투자자들에게 손해를 입히는 사례가 속출하면서 이들에 대한 불신감이 높아지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금융청은 애널리스트에 대한 불신감이 높아질 경우 개인투자자들이 증시를 떠나게 돼 증시침체를 더욱 부추길 위험이 있다고 보고 이번 조사를 정부여당의 증권시장활성화대책에 포함시켜 진행키로 했다.

이번 조사에서 금융청은 ▶애널리스트가 담당기업의 주식을 직접 또는 친인척 명의로 보유하고 있는지 ▶소속 증권사의 영업전략에 맞춰 미리 결론을 내려놓고 몰아가기식으로 분석을 하고 있는지 ▶고객보다 월급을 주는 소속 증권사의 이익을 우선하고 있는지 여부 등에 초점을 맞출 방침이다.

금융청은 특히 애널리스트의 주식보유현황을 중점 조사해 평가의 공정성이나 내부자 거래 여부 등을 밝혀낼 방침인것으로 전해졌다.

금융청은 또 지난 1987년 증권애널리스트협회가 윤리기준 등을 정한 직무규범에 처벌규정이 없다는 점을 감안해 앞으로 투자고문업법에 이를 명문화하는 것을 검토중이다.

한편 금융청은 이번 조사결과를 각국 증권감독기관으로 구성된 증권감독자국제기구(IOSCO)에도 제출해 공개할 예정이다.

[도쿄=남윤호 특파원] yhna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