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 정체성 불분명한 아웃도어 … 2015년 전 국내시장서 퇴출될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6면

“브랜드 정체성이 분명하지 않은 아웃도어 업체들은 2015년 전에 국내 시장에서 퇴출될 겁니다.”

 컬럼비아 스포츠웨어 코리아의 조형래(53·사진) 신임 대표이사가 전망한 한국 아웃도어 시장의 미래다. 올해 2월 부임한 조 대표는 이날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국 아웃도어 시장 규모가 커졌다 해도 40개 넘게 난립하다시피 한 아웃도어 업체가 다 살아남을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패션연구소는 올해 아웃도어 시장 규모가 5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했다. 2007년의 1조원에 비해 다섯 배로 성장한 수치다. 이에 올 초에만 F&F의 ‘더 도어’, 제일모직의 ‘빈폴 아웃도어’ 등 10여 개 브랜드가 새로 생겼다. 올해 말 기준으로 총 45개 업체가 경쟁 중이다. 조 대표는 “매장 수가 300개를 넘는 일부 업체의 가맹점 중 이익을 내지 못하는 곳도 꽤 되는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이런 포화시장에서 컬럼비아 코리아가 내세운 생존비결은 철저한 한국화다. 미국에 본사를 둔 다국적 기업이지만, 한국에서 출시한 제품 중 70%가 국내에만 선보이는 맞춤형 제품일 정도다. “보습·투습·방습 기능인 ‘옴니테크 시리즈’를 비롯해 컬럼비아 스포츠웨어가 가진 200여 개 특허가 이런 현지 맞춤생산을 가능케 한다”는 설명이다.

 올 가을·겨울 신제품엔 기능성 원단이 신체 부위별로 다르게 적용된 ‘인체공학형 테크 디자인’을 내놓는다. 땀이 많이 나는 옆구리나 허벅지 안쪽 부분은 습기가 잘 빠져나가고, 추위를 많이 타는 목이나 어깨 부분은 보온이 잘되도록 서로 다른 원단을 쓰는 방식이다. 조 대표는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맞춤형 제품을 내놓을 수 있는 아웃도어 업체는 컬럼비아가 유일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서 컬럼비아는 인기 연예인을 모델로 쓰기보다 철저히 제품 기능을 홍보한다. “치열한 유통시장에서 오랫동안 살아남는 기업들을 살펴보면 결국 기술력이 근간”이라는 게 조 대표의 설명이다.

 컬럼비아 코리아는 한국에서 지난해 25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올해 목표는 20% 늘어난 3100억원이다. 190여 개인 현 매장 수를 유지하는 대신 매장당 매출을 늘려 나간다는 계획이다.

조혜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