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들, 여친에게 이런 문자 보내면 '확 깬다'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맞춤법을 틀리는 이성은 호감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데이팅서비스 이츄가 20~30대 미혼남녀 1249명을 대상으로 ‘맞춤법과 호감도의 상관관계’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남성의 65.2%, 여성의 78.3%가 '이성이 맞춤법을 몰라서 틀리는 것은 싫다' 고 답했다. 특히 남성의 30%는 ‘몰라도 상관 없다. 부끄러운 게 아니다’라고 답한 반면, 여성의 16.6%는 ‘호감도에 찬물 끼얹는 느낌이다.무조건 확 깬다’고 답했다.

가장 참을 수 없는 맞춤법 실수 1위는 남녀 모두 ‘병이 낫다’를 ‘낳다’라고 표기하는 경우(남성 21.3%와 여성의 25.5%)로 뽑았다. 남성의 경우▶ ‘얘기’를 ‘예기’(15.3%)로 ▶ ‘무난하다’를 ‘문안하다’(14.7%)로 ▶ ‘안 해’를 ‘않 해’로 ▶‘어이없다’를 ‘어의없다’(8.6%) 등을 순서대로 꼽았다. 여성은 ▶‘문안하다’(15.6%) ▶‘않 해’(13.8%) ▶예기’(12.2%) ▶남녀의 ‘연예’(10%) 순으로 응답했다.

'맞춤법 실수를 해 이성에게 호감이 식었던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남성 71.4%가 ‘경험이 없다’고 답했고 여성의 65.5%는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틀린 맞춤법 표현을 발견했을 때 대처법으로는 남녀 모두 ‘모른 척 넘어간다’(남 91.1%, 여 83.1%)고 말했다.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