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출자전환 약효 불투명

중앙일보

입력

정부와 채권단이 출자전환을 포함, 2조9천억원의 현대건설 지원 대책을 급히 마련한 것은 현대건설이 무너질 경우 그 파급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정부와 채권단이 출자전환을 포함, 2조9천억원의 현대건설 지원 대책을 급히 마련한 것은 현대건설이 무너질 경우 그 파급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채권단은 당초 신규자금 지원 부담 때문에 법정관리에 넣고 출자전환으로 회생하는 방안도 생각했지만, 해외공사 중단에 따른 부담이 45억달러에 이르고 다른 현대 계열사까지 동반 부실화할 것을 우려해 살리는 김에 확실하게 살리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 대출금 출자전환에 자금 지원도〓채권단은 우선 은행권의 직접 대출금 1조4천억원을 이른 시일 안에 출자전환하기로 했다. 임시주총을 열어 감자를 결의해야 하므로 적어도 한달은 걸릴 것으로 보인다.

채권단은 이때까지 유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3천9백억원의 자금을 긴급 지원한 뒤 나중에 1조5천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와 전환사채 발행 자금이 들어오면 이를 되돌려 받기로 했다.

채권단은 이같은 출자전환이 완료되면 현대건설은 2조원의 자본금에 부채비율이 2백60%인 우량 건설사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채권단은 현대건설의 재무구조가 개선되면 현대건설을 다시 회사채 인수대상에 넣어 회사채 발행을 추진할 계획이다.

◇ 계속되는 지원〓지난해 정부와 채권단은 현대건설의 만기 연장을 결의하면서 신규자금 지원은 없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 그러나 올들어 현대건설의 자금사정이 악화하자 3천4백억원의 아파트분양대금 대출과 4억달러의 해외공사에 대한 지급보증을 약속했다.

여기에 출자전환을 포함한 2조9천억원 규모의 지원도 모자라 전환사채 발행에 정부기관인 신용보증기금이 1백% 보증하기로 했다.

채권단은 지난해 현대건설이 5천억원의 영업이익(판매관리비 포함하면 약 8천억원)이 나 부채규모만 줄여주면 정상화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감사보고서 결과 영업이익은 2백40억원에 그쳤다. 부채를 줄이더라도 채권단의 예상대로 올해 현대건설이 6천억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낼지 불투명하다.

한편 정몽헌 현대아산 회장은 이번 감사결과가 지나치게 결손을 부풀렸다고 주장하며 경영권을 고집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진념 부총리 겸 재경부장관은 "정몽헌 회장이 경영권을 포기하지 않고 계속 버티면 법정관리로 가는 수밖에 없다" 며 鄭회장측을 압박했다.

◇ 사태 끌다가 지원 늘었다〓정부와 채권단이 현대측에 끌려다니다 결국 출자 규모를 늘렸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현대건설이 지난해 10월 1차 부도를 내는 등 유동성 위기를 겪었는데도 11월 3일 부실기업 판정 때 '조건부' 로 살려줬다.

또 올들어 정부와 채권단은 현대건설의 회사채 3천억원어치를 신속 인수하는 등 자금을 지원하며 유동성 문제를 덮어왔다.

따라서 현대건설을 살리기로 마음먹었다면 지난해 11월 출자전환 동의서를 받기로 했을 때 바로 조치를 취해야 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이렇게 될 바에야 지난해 출자전환 조치를 했으면 비용이 훨씬 적게 들었을 것" 이라고 말했다.

중앙대 홍기택 교수(경제학)는 "출자전환하면 채권단이 회사를 살리기 위해 계속 돈을 넣어야 하는 등 위험을 떠안게 된다" 며 "현대건설의 경우 출자전환에 비해 채권단간의 이해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은 법정관리가 바람직할 수도 있다" 고 주장했다.

신한종합연구소 황민 금융실장도 "아직 현대건설이 회생 가능한지에 대한 실사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출자전환을 해야하는지 의문스럽다" 며 "만약 추가 부실이 드러난다면 차라리 정리를 하는 게 나을 수도 있다" 고 지적했다.

여의도연구소 유재훈 연구위원은 "출자전환을 하더라도 실사를 통해 회생 가능성이 있는지를 정확히 판단해야 한다" 며 "회생할 것으로 판정되면 현대건설은 경영 개선 약정을 맺어 확실한 자구 의지를 보여줘야 하며 정부는 더 이상 개입하지 말아야 할 것" 이라고 강조했다.

김원배.최현철 기자
사진=안성식 기자

채권단은 당초 신규자금 지원 부담 때문에 법정관리에 넣고 출자전환으로 회생하는 방안도 생각했지만, 해외공사 중단에 따른 부담이 45억달러에 이르고 다른 현대 계열사까지 동반 부실화할 것을 우려해 살리는 김에 확실하게 살리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 대출금 출자전환에 자금 지원도〓채권단은 우선 은행권의 직접 대출금 1조4천억원을 이른 시일 안에 출자전환하기로 했다. 임시주총을 열어 감자를 결의해야 하므로 적어도 한달은 걸릴 것으로 보인다.

채권단은 이때까지 유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3천9백억원의 자금을 긴급 지원한 뒤 나중에 1조5천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와 전환사채 발행 자금이 들어오면 이를 되돌려 받기로 했다.

채권단은 이같은 출자전환이 완료되면 현대건설은 2조원의 자본금에 부채비율이 2백60%인 우량 건설사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채권단은 현대건설의 재무구조가 개선되면 현대건설을 다시 회사채 인수대상에 넣어 회사채 발행을 추진할 계획이다.

◇ 계속되는 지원〓지난해 정부와 채권단은 현대건설의 만기 연장을 결의하면서 신규자금 지원은 없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 그러나 올들어 현대건설의 자금사정이 악화하자 3천4백억원의 아파트분양대금 대출과 4억달러의 해외공사에 대한 지급보증을 약속했다.

여기에 출자전환을 포함한 2조9천억원 규모의 지원도 모자라 전환사채 발행에 정부기관인 신용보증기금이 1백% 보증하기로 했다.

채권단은 지난해 현대건설이 5천억원의 영업이익(판매관리비 포함하면 약 8천억원)이 나 부채규모만 줄여주면 정상화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감사보고서 결과 영업이익은 2백40억원에 그쳤다. 부채를 줄이더라도 채권단의 예상대로 올해 현대건설이 6천억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낼지 불투명하다.

한편 정몽헌 현대아산 회장은 이번 감사결과가 지나치게 결손을 부풀렸다고 주장하며 경영권을 고집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진념 부총리 겸 재경부장관은 "정몽헌 회장이 경영권을 포기하지 않고 계속 버티면 법정관리로 가는 수밖에 없다" 며 鄭회장측을 압박했다.

◇ 사태 끌다가 지원 늘었다〓정부와 채권단이 현대측에 끌려다니다 결국 출자 규모를 늘렸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현대건설이 지난해 10월 1차 부도를 내는 등 유동성 위기를 겪었는데도 11월 3일 부실기업 판정 때 '조건부' 로 살려줬다.

또 올들어 정부와 채권단은 현대건설의 회사채 3천억원어치를 신속 인수하는 등 자금을 지원하며 유동성 문제를 덮어왔다.

따라서 현대건설을 살리기로 마음먹었다면 지난해 11월 출자전환 동의서를 받기로 했을 때 바로 조치를 취해야 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이렇게 될 바에야 지난해 출자전환 조치를 했으면 비용이 훨씬 적게 들었을 것" 이라고 말했다.

중앙대 홍기택 교수(경제학)는 "출자전환하면 채권단이 회사를 살리기 위해 계속 돈을 넣어야 하는 등 위험을 떠안게 된다" 며 "현대건설의 경우 출자전환에 비해 채권단간의 이해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은 법정관리가 바람직할 수도 있다" 고 주장했다.

신한종합연구소 황민 금융실장도 "아직 현대건설이 회생 가능한지에 대한 실사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출자전환을 해야하는지 의문스럽다" 며 "만약 추가 부실이 드러난다면 차라리 정리를 하는 게 나을 수도 있다" 고 지적했다.

여의도연구소 유재훈 연구위원은 "출자전환을 하더라도 실사를 통해 회생 가능성이 있는지를 정확히 판단해야 한다" 며 "회생할 것으로 판정되면 현대건설은 경영 개선 약정을 맺어 확실한 자구 의지를 보여줘야 하며 정부는 더 이상 개입하지 말아야 할 것" 이라고 강조했다.

김원배.최현철 기자 oneb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