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마이크로 슈퍼메인보드 AX3SP Pro [3]

중앙일보

입력

사람마다 메인보드를 선택하는 기준에는 차이가 있다. 안정성을 최고로 선택하는 사용자, 속도를 최우선으로 선택하는 사용자, 부가기능을 선택하는 사용자등 나름대로의 기준을 가지고 메인보드를 선택하기 마련이다.
메인보드 선택의 기준도 시대마다 유행을 타는 듯 하다. 최근 메인보드 선택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CPU 오버클러킹 가능 여부이다. 보통 메인보드의 리뷰 페이지에는 벤치마크 프로그램만을 실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곳은 메인보드 벤치마크란이 아니므로 메인보드의 기능을 설명하는 쪽으로 글을 쓰겠다.

강력한 오버클러킹 기능
AX3SP Pro 메인보드의 가장 강력한 기능인 CPU 오버클러킹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자.

현재 소켓 370에 사용할 수 있는 모든 CPU에는 배율이 고정되어 있다.(AX3SP Pro 메인보드에는 CPU의 배유을 임의대로 설정할 수 있으나 실제로 반영되지 않는다.) 때문에 CPU를 오버클러킹 하려면 CPU의 FSB를 정상 클럭보다 높게 설정하여야 한다. 때문에 FSB를 조절할 수 있는 범위가 넓을수록 여러 가지 방법의 오버클러킹을 시도해 볼 수 있다.

AX3SP Pro 메인보드에서 CPU설정은 CMOS Setup을 통한 software 설정과 메인보드의 Hardware 점퍼 설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Hardware 설정을 통하여서는 66Mhz, 100Mhz, 133Mhz, Auto 중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을 선택할 수 있다. Auto 모드로 설정할 경우에는 메인보드가 CPU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66Mhz, 100Mhz, 133Mhz 중 하나의 클럭을 선택하게 된다. 오버클러킹은 선택된 FSB의 범위안에서만 이루어진다. 예를들면 66Mhz의 CPU를 감지할 경우 CMOS 설정에서의 FSB 조절은 66-83Mhz까지만 가능하다. 여기에서 실망할 필요는 없다. 최고의 오버클러킹 메인보드 AX3SP Pro는 Hardware 점퍼설정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모든 클럭의 FSB를 CPU에 설정 할 수 있다.

CPU를 오버클러킹할 경우 시스템이 동작하지 않거나 불안한 모습을 보인다면, 전압설정 기능을 이용해 보자. AX3SP Pro 메인보드는 1.3V에서 2.0V 까지0.05V 단위로, 2.0V에서 3.5V까지는 0.1V단위로 CPU 전압을 강제 설정할 수 있다. (참고로 0.1V 이상의 전압을 강제설정할 경우 CPU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AX3SP Pro 메인보드는 최고 200MHz의 FSB까지 1MHz 단위로 설정 할 수 있다. 현재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CPU의 최고 FSB가 133MHz인 것을 생각하면 매우 유연한 설정범위를 제공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CPU의 FSB를 1MHz단위의 설정 할 수 있으므로 CPU에 무리를 주지 않는 범위에서 최고 높은 클럭까지 CPU를 오버클러킹 할 수 있다.

Tip

오버클러킹 실전테스트

AX3SP Pro 메인보드에서 필자는 코퍼마인 셀러론 633 제품을 FSB 100MHz로 오버클러킹 해 보았다. 10개의 제품을 테스트한 결과 6개정도의 제품이 100MHz의 클럭으로 이상없이 작동하는 놀라운 결과를 보여주었다. 물론 CPU의 오버클러킹의 가능여부는 메인보드 보다 CPU의 성능이 중요하다. 그러나 같은 CPU일 경우에도 메인보드가 불안정할 경우 오버클러킹이 전혀 되지 것을 생각하면, AX3SP Pro 의 오버클러킹 기능은 매우 뛰어나다가 평가된다.

IRQ 강제할당기능

필자의 메인보드 선택 기준 중 하나라면 PCI 슬롯의 개수가 있다. 여러분들도 많은 수의
PCI 장치를 사용하고 있을 것이다. PCI 슬롯이 많다고 무조건 최고라고 할 수는 없다. 여러개의 주변장치를 이용해 보면 IRQ 충돌이라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효율적인 IRQ 관리기능은 훌륭한 메인보드의 필수요건이라고 생각된다.


PnP/PCI 설정을 Auto로 설정한 경우


PnP/PCI 설정을 Manual로 설정한 경우

AX3SP Pro 메인보드에는 아쉽게도 IRQ 강제할당 기능을 제공하지 않아서 IRQ 관리에서 약간 불안감을 느낄 수 있었다. AX3SP Pro 메인보드에서 IRQ 충돌이 발생할 경우에는 CMOS 설정의 "PnP/PCI Configurations" 설정의 "Resources Controlled By" 란을 조절하여 해결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이곳을 통한 설정은 자신의 원하는 IRQ를 직접 할당할 수 완벽한 해결이란 기대할 수 없다.
여러분이 사용하는 운영체제가 Windows 2000 이라면 메인보드의 IRQ 할당내용이 전혀 반영되지 않으므로 AXSP Pro 메인보드의 IRQ 할당기능이 단점이 되지 않는다.

Sandra 2001 벤치마크

필자는 메인보드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벤치마크 수치를 보고 구입하지는 않는다. 벤치마크상의 성능차이는 너무 미비하며, 체감속도를 전혀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벤치마크 수치에 신경이 쓰이는 것은 사실이다.(-_-) 기본적으로 메인보드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Sandra 2001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전반적으로 AX3SP Pro 메인보드가 인텔 제품에 비하여 약간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너무나 미약한 수치의 차이이므로 체감성능을 느낄 수는 없지만, 심리적인 안정감, 만족감을 느끼게 하는 결과이다.

권보수
자료제공:pcBee(http://www.pcbee.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