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SW단속, 대덕밸리 희비 교차

중앙일보

입력

정부가 불법소프트웨어에 대한 강력한 단속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단속에 앞서 미리 정품교체를 마친 대전지역의 업체들은 일정대로연구개발을 진행하는 등 비교적 여유있는 모습을 보이는 반면 아직도 불법 SW를 사용하고 있는 업체는 대응책을 마련하느라 어쩔줄 모르고 있다.

9일 지역 벤처업계에 따르면 대덕밸리 A업체는 현재 대부분의 SW를 정품이 아닌 복제품으로 가지고 있어 단속에 걸릴까봐 비상이 걸렸다.

이 업체는 정품을 구입할 경우 최소한 6천만원 이상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으나 회사 규모가 영세하고 자금도 넉넉하지 못한 상황이어서 마땅히 대처할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 업체는 아예 문을 닫고 단속이 끝나기만을 기다리는 방안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지만 연구개발이 중단되는 고통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에 아직까지 이렇다할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B업체는 사용중인 소프트웨어를 정품으로 교체하려 해도 대리점에서 구입이 어려워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는 최근 불법SW단속으로 업계에 비상이 걸리자 일부 대리점에서 가격을 20-30%씩 올려 받고 있기 때문으로 파악되고 있다.

또 다른 C업체는 이번 불법 SW단속에 이중작전으로 대응하고 있다.

일부 정품을 갖고 있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회사에서 근무토록 하고 다른 불법SW사용자는 재택근무를 지시하는 등 나름대로 단속을 피해가는 묘안을 짜내고 있다.

이와 함께 D업체는 정품을 사용하고 있지만 정품임을 입증할 수 있는 증빙자료로 정품CD, 구매영수증, 거래내역서 등을 갖고 있지 않아 단속에 걸릴 경우 불법SW로 처리되기 때문에 난처함을 호소하고 있다.

이와는 달리 이미 지난해 정부의 단속에 대비해 비교적 큰 예산을 들여 정품 소프트웨어로 바꾼 업체들은 상대적으로 느긋한 입장이다.

직원이 20여명인 E사의 경우 지난해 7월 3천여만원의 예산을 들여 그동안 복제해 사용해 온 프로그램을 모두 정품으로 교체했으며 값비싼 프로그램은 공용PC를 둬 네트워크를 통해 공동 사용하고 있다.

또 직원이 10여명인 F사는 지난해말 2천여만원의 예산을 들여 전직원의 컴퓨터를 모두 정품소프트웨어가 깔려 있는 컴퓨터로 바꿨으며 G사도 지난해 회사 내에 불법복제 프로그램 전담 관리자를 지정, 정품 소프트웨어 교체작업을 마쳤다.

이밖에 대전소프트웨어지원센터의 경우처럼 단속을 앞두고 다음주에 입주업체에 대한 자체조사를 실시, 정부의 단속에 대비하려는 곳도 있다.

벤처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불법 소프트웨어에 대한 처벌강화를 골자로 한 법률이 시행될 것에 대비해 무리를 해서라도 정품 소프트웨어로 교체한 업체는 지금 안도의 숨을 쉬고 있지만 그때 그냥 넘어간 회사들은 이제와 큰 혼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