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기업들 공동 e-비즈니스 본격 추진

중앙일보

입력

국내 30대 기업집단들이 모여 전자상거래를 위한 e-비즈니스체제를 구축한다. 또 기간통신사업자들은 올해를 e-비즈니스 경쟁력 강화의 해로 정하고 공격적인 인터넷경영 방침을 잇따라 발표했다.

전경련(http://www.korbiz.or.kr)은 급변하는 온라인 상거래 시대에 기업들의 경쟁력강화를 위해 8일 정기회장단회의를 열어 e-비즈니스를 본격추진키로 했다. 국내 대기업들이 전자상거래 추진을 공식선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회의에는 30대 대기업 회장및 경영진이 대부분 참여해 3월말까지 기업집단별로 구체적인 추진방안을 마련한다는 것이다. 회장단은 기업들의 단계별 e-비즈니스 추진방안과 함께 협력업체의 IT화 방안도 협의할 방침이라고 전경련 관계자가 7일 밝혔다.

전경련은 그러나 협력업체의 IT화는 상당한 시간과 자금이 소요되기때문에 정부에 재정지원을 요청할 계획이다. 또 e-비즈니스 도입후 기업간 거래내용이 투명해지는 만큼 세무당국이 탈세혐의가 없는 업체에 대해서는 기업이 제시하는 세무자료를 그대로 인정토록 요구할 방침이다.

전경련은 이와함께 'e-비즈니스기업인연합회' 와 민간전문가및 산자부 관계자가 참여하는 상설협의회 운영 방안도 검토중이다.

한국통신과 하나로통신.데이콤등 주요 기간 통신업체들도 기업의 중심축을 e-비즈니스로 옮기고 있다.

한통 이상철 사장은 7일 대전 인력개발원에서 3백여명의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IT 기반의 e-KT' 구축을 선언했다. 한통은 현재 10%수준인 전자조달 비율을 연말까지 60%수준으로 올린다는 목표를 정했다. 또 올해안에 전사적 자원관리(ERP)와 고객관리 프로그램(CRM)을 전면 도입키로 했다.

하나로통신은 신윤식 사장이 직접 e-비즈 사업본부 본부장을 맡아 회사의 신규 e-비즈니스 프로젝트를 챙기고 있다.

데이콤은 최근 조직개편에서 'e-비즈니스 인프라 사업팀' 과 'e-컨설팅 사업팀' 을 신설하는등 e-비즈니스 조직을 강화했다. 한편 정부는 기업들의 e-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해 IT투자액 5%인 세액공제비율과 접대비의 손비처리규모도 늘려주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최형규.최지영 기자chkc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