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직장협의회 노조설립건으로 양분

중앙일보

입력

6급이하 공무원들의 친목단체 성격 모임인 `전국공무원직장협의회 발전연구회(전공연)'가 공무원 노조 설립 문제를 둘러싸고 2개체제로 쪼개지게 됐다.

전공연이 이처럼 분열양상을 보임에 따라 전국 단위의 공무원 노조 설립에 적극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부산시.경남도 등 일부 공무원직장협의회들의 입지가 상당히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행정자치부 등 13개 중앙부처를 포함한 72개 공무원직장협의회는 7일 공무원 노조 전단계인 전국공무원직장협의회 총연합(이하 총연합) 구성과 관련한 공동성명을발표, "전공연 원래의 설립목적을 지향한다"며 총연합에 불참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들 협의회는 "총연합이 우리와 행동을 같이할 수 없게 된 데 대해 안타까움과아쉬움을 금할 수 없다"며 "총연합을 우려의 시각으로 관망하면서 전공연을 계속 발전시키기를 원하는 회원들과 그간의 문제점을 심도있게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전공연 관계자는 "공무원 노조설립에 반대하는 것은 아니지만 국민정서 등을 감안할때 아직은 노조설립을 위한 여건이 성숙되지 않았고 현행법 테두리에서도 목소리를 낼 수 있다는 게 잔류 협의회들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노조설립을 추진할 경우 정부와의 충돌이 불가피하고 국민들로부터 집단이기주의라는 비판도 받을 수 있다고 판단했다"며 이번결정과정에 외부 입김이 작용하지 않았음을 강조했다.

전공연에 잔류를 선언한 이들 직장협의회는 오는 17일 충남도청에서 간담회를가진 뒤 총회 일정을 잡아 총연합 불참 및 개정 규약의 무효를 결의하고 공동대표 12명중 총연합 참여로 공석이 된 공동대표 3명을 새로 선임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전공연은 지난 2월3일 132명의 단위협의회 대표중 79명이 참가한 가운데 총회를 열어 단체 명칭을 `전국공무원직장협의회 총연합'으로 바꾸고 공동대표체제를 단일대표체제로 변경하는 내용의 규약 개정안을 의결했다.

전공연은 특히 당시 개정된 규약에 `노동권회복을 통한 공무원 복리증진,' `직장협의회 조직.역량 확대,' `협의회간 연락.정보교환' 등을 추가해 전국단위의 공무원노조 설립을 추진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었다. (서울=연합뉴스) 박세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