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구입 가이드 [2]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입출력 포트


USB 커넥터

최근에는 Serial이나 Parallel 포트 대신 USB나 IEEE1394 포트만이 노트북 시스템에 채택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물론 앞서가는 방식이고 노트북의 성능이나 소형화에도 유리한 설계임에는 틀림없다.


또 다른 모양의 USB커넥터

만일 설정이 되어있지 않은 라우터를 Serial로 제어해야 하는 통신 전문가, 전자수첩이나 PDA를 함께 사용해야 하는 경우라면 적절한 입출력 포트가 있는지 고려해 볼 일이다.
물론 Serial이나 Parallel포트가 없는 노트북의 경우 Port Replicator등을 별도로 제공해 주는 제품도 있고, 취향에 맞는 변환기를 별도로 구매할 수도 있다.

운영체제 / 호환성 / 사양


가정용 PC운영체제 윈도미

요즘 출시되는 노트북 시스템에는 대부분 Windows ME가 기본 운영체제로 되어 있다. 중요한 건 Windows 2000과 호환이 되는지, 웹 사이트 등에 Device Driver를 제공하고 있는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

만일 Linux 사용자라면 서브 노트북의 경우 FDD인식 문제 등과 함께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되더라도 까다로운 경우가 많다. 또한 무명 업체의 특별한 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도 Linux에서는 이를 사용할 수 없
으므로 고려해 볼 일이다.


리눅스-KDE

구입할 노트북 시스템이 저가형인 경우에는 HDD나 CPU 등은 전반적으로 무난하지만 RAM이 64MB인 모델이 있다. Windows ME를 사용하는 데는 별 문제가 되지 않지만 Windows 2000을 설치하려면 최소 128MB이상이 되어야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메모리를 추가 구입해 장착하는 것이 좋다.

노트북 시스템에 하드웨어적인 문제가 발생하면 아무리 고급 사용자라 하더라도 수리하기가 어렵다. A/S 기술 인력과 함께 대체할 제품 혹은 부품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는 대기업의 제품인지 알아보는 것이 좋다.

장내순
자료제공:pcBee(http://www.pcbee.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