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태양광 발전은 24시간 못 돌리는데 …”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일본 후쿠시마 사태 이후에도 원자력에 대한 정부의 입장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현재 전체 발전량 중 31%를 차지하는 원자력의 비중을 2030년 59%까지 늘려가겠다는 계획도 유지하고 있다. “현실적으로 원자력을 대체할 에너지는 아직 없다”는 이유에서다.

 국내 전기 소비는 2000~2009년 매년 5%가량 늘었다. ‘탈(脫)원전’을 선언한 독일의 연평균 증가율은 같은 기간 0.18%에 그쳤다. 반면에 전기요금은 지난해 10월 기준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유럽 회원국 평균의 41% 수준이다. 이런 사정을 감안할 때 풍력·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는 상대적으로 비싼 데다 안정성도 떨어져 당장 ‘대안’이 되기 힘들다는 설명이다. 지식경제부 관계자는 “태양광이나 풍력 등은 24시간 전력이 공급되기 어려워 전력이 부족할 때를 대비한 화석연료 발전소를 함께 지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석탄·석유로 전력 생산을 늘리는 것도 여의치 않다. 환경오염도 문제지만 에너지 거의 전량을 수입하는 나라에서 특정 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무한정 높였다가는 ‘에너지 안보’에 구멍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국민도 원전의 불가피성에 대해선 어느 정도 동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이 지난해 8월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원자력 발전이 필요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83%에 달했다. 하지만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같은 조사에서 원자력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은 47.4%로 2009년(29.5%)보다 크게 높아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