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명적 사랑 믿게 해준 영화…5년간의 기억 증발? 절대 안되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9면

레이철 맥애덤스는 “어떤 식으로든 사랑 이야기가 녹아있는 영화를 좋아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조깅과 자전거타기를 즐기고, 가까운 거리는 걸어다니는 게 몸매 유지 비결”이라고 말했다. [사진=소니픽쳐스]

할리우드의 ‘멜로 퀸’으로 불리는 배우 레이철 맥애덤스(34).

 그가 ‘노트북’(2004), ‘시간여행자의 아내’(2009)에 이어 자신의 순애보 영화 리스트에 오를 영화 한 편을 찍었다. 14일 개봉한 ‘서약’이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 영화는 교통사고로 남편에 대한 기억을 잃어버린 한 여자가 생면부지의 남자가 돼버린 남편과 다시 사랑의 감정을 키워가는 과정을 그렸다.

 조각가인 페이지(맥애덤스)는 남편 레오(채닝 테이텀)와 함께 교통사고를 당해 최근 5년의 기억을 잃어버린다. 페이지의 기억은 남편을 만나기 전 법대에 다니며 다른 남자와 약혼했던 시절에 머물러 있다. 사랑했던 추억을 잃어버린 페이지에게 남편은 낯선 남자일 뿐.

 그는 결국 결혼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남편의 곁을 떠난다. 영화는 올해 북미 개봉작 중 처음으로 누적 수익 1억 달러(약 1100억원)를 돌파했다. 맥애덤스는 e-메일 인터뷰에서 “남편을 전혀 기억하지 못하면서 둘 사이에 희망이 남아있다는 느낌을 표현하는 게 가장 어려웠다”고 말했다.

 -어떻게 캐릭터를 연구했나.

 “믿겨지지 않을 만큼 특별한 이야기여서 끌렸다. ‘페이지’는 롤러코스터를 타는 것처럼 상황에 따라 감정이 확확 바뀐다. 뇌 손상·기억상실에 대해 공부하고, 실제 부부를 만나 얘기도 들었다.”

 -정말 지난 5년간의 기억을 잃게 된다면.

 “그런 일은 없었으면 좋겠다. 지난 5년간 소중한 일이 많았기 때문이다. 지금의 나를 이루고 있는 소중한 추억이 사라지는 건 상상만 해도 슬프다. 난 소소한 일도 다 기억하는 편이다.”

영화 “서약”의 맥애덤스(오른쪽)와 채닝 테이텀.

 -운명적인 사랑이 있다고 믿나.

 “이 영화를 찍으며 믿게 됐다. 사람은 기억이 90% 이상 사라져도 원래 자신이 살던 삶으로 돌아간다고 한다. 사랑도 그처럼 길이 정해져 있는 게 아닐까.”

 -조각가를 연기했는데, 실제로도 창의적인 편인가.

 “어렸을 땐 정말 선머슴 같았다. 몸으로 하는 일을 좋아했다. 손에 흙 묻히며 화단 가꾸는 걸 좋아했는데, 이것도 예술이라 할 수 있을까?”(웃음)

 -피겨스케이팅 선수였다고 들었다.

 “스케이팅을 좋아하긴 했지만, 내 길은 아니었다. 사실 링크에서 많이 떨었고 병이 날 것 같았다. 내가 연기로 전공을 바꾸겠다고 했을 때 부모님이 많이 놀라셨다. 하지만 내색하지 않고 내 선택을 지지해줬다.”

 -연기를 하겠다고 결심한 이유는.

 “스케이팅할 때는 내 자신을 억누르는 긴장감을 느꼈지만, 연기할 때는 자유로움과 함께 어떤 추진력을 받는 느낌이었다. 연기가 내 자신을 표현할 출구였다.”

 -로맨스 영화를 보며 잘 우는 편인가.

 “눈물이 많다. 그리고 의외의 장면에서 운다. 비행기에서도 눈물이 자주 난다. 비행기에서 테러를 당하는 영화(나이트 플라이트, 2005)에 출연한 이후 비행기가 무서워졌다. 무서워서 우는 걸지도 모르겠다.”(웃음)

 -올해 아카데미 각본상을 받은 ‘미드나잇 인 파리스’에 출연했다. 우디 앨런 감독과의 작업은 어땠나.

 “그에 대해 많은 말이 있지만, 개인적으로 참 재미있는 사람이었다. 유머감각이 뛰어나다. 웃기려고 하는 말이 아닌데도 사람들은 자지러진다. 즐거운 작업이었다.”

 -아직도 캐나다 토론토에 사나.

 “그렇다. 작고 조용한 우리 동네가 좋다. 주민들간의 정도 깊다. 자전거를 타고 돌아다니는 걸 즐긴다. 한번도 차를 산 적이 없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