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호남 공천 탈락자 ‘무소속 연대’ 결성하나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260호 08면

잘나가던 민주통합당(이하 민주당)으로선 시련에 시련을 겪은 한 주였다. 광주광역시 동구에서 모바일 경선을 준비하던 박주선 의원 측 인사가 선거인단을 불법 모집하려다 적발돼 스스로 목숨을 끊는 참극이 발생해 큰 파문이 일었다. 민주당이 ‘공천혁명’이라고 내세웠던 모바일 경선이 대의원을 돈으로 매수해 불법으로 동원하던 과거의 체육관 경선과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건 큰 충격이었다. 다른 곳에서도 불법이 자행되고 있다는 신고가 잇따랐다. 일부 지역에선 혐의가 포착돼 경찰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민주당 지도부는 문제를 철저히 파헤칠 생각은 하지 않고 있다. 광주 동구만 무공천 지역으로 선정했을 뿐 다른 지역의 문제는 방치한 채 “모바일 경선은 좋은 것이니 그대로 간다”는 입장이다.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은 “그런 식의 모바일 경선은 선거를 혼탁하게 하고 민주주의의 뿌리를 흔드는 심각한 문제이므로 어물쩍 넘어갈 수 없다. 모바일 선거인단 모집 전체에 대해 검찰이 수사하도록 해야 한다”며 공세를 취하고 나섰다. 민주당은 이번 주부터 모바일 경선을 예정대로 실시해 공천자를 차례로 결정할 예정이지만 당에선 “사고가 또 터질 수도 있다”고 걱정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민주당은 그간 세 차례에 걸쳐 공천 결과를 발표했지만 감동은 없었다. 개혁공천을 한다고 했지만 현역 의원은 단 한 명도 탈락시키지 않았다. 수도권의 현역 의원 대다수에겐 공천장이 주어졌다. 일부 의원만 경선을 하게 됐다. 같은 비리·부패 전력이 있더라도 지도부와 가까운 인사, 노무현계 인사, 옛 열린우리당 출신은 공천을 받았거나 경선 기회를 잡았다. 반면 김대중계이거나 옛 민주당 출신은 대거 탈락했다. 그래서 원칙이 없다는 비난이 쏟아졌다. 김대중 정부 때 청와대 비서실장을 지낸 한광옥 상임고문은 탈당과 무소속 출마를 선언하면서 “공천은 친노의 향연”이라고 꼬집었다. 민주당 지도부의 친노 챙기기, 나눠먹기식 공천 개입은 강철규 공천심사위원장의 심사 잠정 중단, 탈락한 신인 예비후보들의 집단 반발과 정당 지지율 하락 등의 후유증을 초래했다. 조만간 뚜껑을 열 호남 공천 결과에 따라 탈락하는 현역 의원들과 옛 민주당 인사들이 ‘무소속 연대’를 결성할 수도 있는 만큼 선거구도가 바뀔지도 모른다.

새누리당에선 이명박계 핵심인 이재오 의원을 공천한 것과 관련해 큰 논란이 일었다. ‘과거와의 단절’을 주장해 온 김종인·이상돈 비상대책위원이 강력히 반발했으나 정홍원 공직후보자 추천위원장은 이 의원 공천안을 관철시켰다. 박근혜 비대위원장은 논란에 개입하지 않아 “결국 화합공천에 무게를 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그러나 친이명박계에선 “이 의원을 공천하는 대신 친이계는 대거 탈락시키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금명간 발표될 2차 공천 결과 현역 의원 탈락자가 제법 많이 나올 수도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