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1 동일본 대지진 그 후 1년] 1년 걸려 치운 쓰레기 겨우 5%…성장률 0.9%P 뒷걸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5면

3·11 동일본 대지진 당시 간 나오토(菅直人·66) 총리 보좌관으로 도쿄전력에 상주하며 후쿠시마 제1원전 처리를 담당했던 호소노 고시(細野豪志·40·사진) 원전사고 담당 장관은 “전 세계 국민이 원하는 사실과 방사능 확산 예측치를 공개하지 않았던 건 잘못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23일 도쿄 정부청사에서 가진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가 보내준 따뜻한 지원에 감사한다” 고 했다.

 - 외국에선 일본의 정보공개에 불만이 많다.

 “일 정부로선 최대한 노력을 했다고 보지만 여러 의미에서 반성이 필요하다. 노심 융해(멜트다운)와 관련해서도 일 정부는 ‘연료(봉이) 융해되고 있는 건 틀림없지만 어느 정도인지는 모른다’고 했다. 하지만 그건 사실이었다. 즉 외부에서 확인하고 측정돼 알고 있는 사실에 한해선 전부 공개를 했지만 솔직히 정확한 상황을 몰라 충분한 답을 못한 부분도 있었다.”

 - 방사능 수치가 높은 일부 지역을 사람이 살 수 없는 곳으로 정하고, 주민들에게 이주를 권했던 게 옳지 않나.

 “소련 체르노빌 원전사고의 경우 사고 지역에 주민들이 되돌아간 경우는 없었다. 소련은 그런 판단을 한 것이다. 하지만 일 정부는 그런 판단을 하지 않는다. 돌아가라고 강요도 하지 않지만, 돌아가고 싶어하는 이들이 있는 한 그들이 살 수 있는 환경을 최대한 만들 것이다. ”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3·11 이후 1년 동안 얻은 교훈이 뭔가.

 “원자력 전문가를 키워야 한다. 단순히 기술전문가가 아니라 위기관리를 할 수 있는 인재다. 이건 일본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가 공유해야 할 문제이기도 하다.”

원전 기술자보다 사고 때 위기관리할 전문가 먼저 키워야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