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문재인', 이회창 누른 '노무현·정몽준' 작전 재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왼쪽부터 안철수, 문재인, 손학규.

뛰는 안철수와 문재인, 그리고 쫓는 손학규. 야권 차기 지형이 이렇게 삼각구도로 전개될 조짐이다. 민주통합당 문재인 상임고문의 지지율 급상승으로 비롯된 변화다.

 연초만 해도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의 ‘독주’였다. 그러다 문 고문이 지난달 9일 SBS ‘힐링캠프’에 출연하고, 안 원장이 정치 참여에 대해 뜨뜻미지근한 입장을 유지하면서 판이 출렁이기 시작했다.

 급기야 6일 발표된 리얼미터 여론조사에서 문 고문은 처음으로 양자대결 시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을 0.5%포인트 차(문재인 44.9%, 박근혜 44.4%)로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자대결 시 안 원장과의 지지율 격차는 2%포인트 이내(안철수 21.2%, 문재인 19.3%)로 좁혀졌다.

 문 고문의 지지율에 다소 거품이 있을 수도 있다. 한국갤럽이 3일 발표한 여론조사(휴대전화 방식)에선 다자대결 시 지지율이 박 위원장 35%, 안 원장 20%, 문 고문 14%로 나타났다. 양자대결(박근혜 45%, 안철수 38%)에선 박 위원장이 안 원장을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 위원장과 문 고문의 양자대결 조사는 하지 않았다.

 그러나 문 고문 지지율이 상승 추세인 것만은 분명하다. 갤럽 조사에서도 1월 9일엔 8%에 불과했다. 1월 10일부터 10%를 기록하더니 약 한 달 새 두 자릿수대에 안착한 것이다.

 주목되는 것은 안 원장과 문 고문 지지율을 합친 총량이다. 지난해 ‘박근혜 대세론’이 확산될 때는 범야권 주자들의 지지율을 모두 합쳐도 박 위원장에게 못 미쳤다. 그러나 일부 조사에선 ‘안철수+문재인’의 지지율 합계(40.5%·리얼미터)가 박 위원장을 멀찍이 추월하고 있다.

 야권은 ‘노무현+정몽준’의 단일화 시너지로 2002년 대선 때 ‘이회창 대세론’을 무너뜨린 바 있다. 두 사람이 ‘경쟁적 협력자’가 돼주길 바라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른바 ‘페이스메이커(pacemaker)론’이다. 페이스메이커는 마라톤 등에서 주전 선수의 기록을 끌어올리기 위해 투입된 선수를 말한다. 두 사람이 상호 신뢰를 유지하면서 대선 레이스를 뛰고, 야권의 대표주자를 정하는 건 국민 선택에 맡기라는 얘기다.

 문 고문은 안 원장에게 호의적이다. ‘힐링캠프’에 출연해 안 원장을 “‘박근혜 대세론’을 꺾을 유일한 인물” “정권교체의 희망”이라고 치켜세웠다. 반대로 문 고문에 대한 안 원장의 직접적 평가는 알려진 게 없다. 다만 주변에선 “안 원장이 문 고문을 나쁘게 볼 이유가 전혀 없지 않겠느냐”고 말한다. 윤희웅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실장은 “안 원장은 무당파·중도층의 지지세를, 문 고문은 전통적 야권 세력에 기반한다”며 “뭉쳐지면 강해질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했다. 하지만 이게 쉬운 일은 아니다. 누가 누구의 페이스메이커가 되느냐는 문제가 남아 있기 때문이다.

 두 사람에 비하면 힘이 부치지만 손학규 상임고문의 공간도 여전하다. 문 고문에 비해 비(非)노무현계와 수도권·호남 세력을 흡수할 수 있고, 안 원장과 견줬을 땐 검증된 후보라는 점에서다. 민주당의 한 핵심 관계자는 “결국 야권은 ‘안·문·손’ 3인 경쟁체제로 굳어질 것”이라며 “세 사람의 경쟁에서 나타날 시너지가 야권의 장점”이라고 말했다.

 ◆안철수 팬클럽 ‘나철수’ 창립=안 원장의 지지모임 ‘나의 꿈, 철수의 꿈, 수많은 사람들의 꿈(나철수)’이 9일 창립대회를 한다. 결성을 주도한 정해훈 선임공동대표는 “나눔, 화합, 미래, 진실을 추구하는 안 원장을 응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향후 안 원장이 정치활동에 참여하게 되면 외곽에서 지원할 계획이다. 하지만 안 원장 측은 “이 같은 움직임을 모른다”고 말했다. 

양원보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