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15% 룰 … 정청래 “성전환 해야 하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한명숙 대표

야당에서 여성 의무공천 비율을 둘러싸고 남성 역차별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김두수 전 사무총장 등 민주통합당 남성 예비후보자 10여 명은 7일 당무위원회에서 정해진 ‘여성 15% 의무공천’ 룰에 반발해 국회에서 단체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15% 룰은 여성 비례대표, 여성 지역위원장 등 기성 여성 정치인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명숙 대표에게 공개질의서를 보낸 이들은 8일 오전 열리는 최고위원회의를 찾아 공식 항의하기로 했다.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낼 예정이다.

 이 ‘15% 룰’에 따르면 지역구 245곳 중 37곳에서 여성 후보를 내야 한다. 이날 현재 여성이 예비후보로 등록한 지역구는 39곳. 이에 따라 “자질이 떨어지는 인물이 여성이란 이유만으로 공천받을 수 있다. 여성 신인에게 20%의 가산점까지 주면서 의무공천 규정까지 만든 것은 남성에 대한 역차별”이라는 비판이 이어졌다. 마포을 지역구에서 여성 후보인 김유정 원내 대변인과 경쟁을 벌이고 있는 정청래 전 의원은 트위터를 통해 “성전환 수술이라도 해야 하나”라며 “여성 낙하산 공천, 이게 말이 되는가”라는 격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한명숙 대표의 의지는 분명하다. 당무위에서 예외조항을 두자는 의견이 있었지만 “단서를 달아 제도의 의미를 퇴색시켜서는 안 된다”고 일축했다고 한다. “여성 공천 확대는 공천혁명의 중요한 정신”이라는 것이다.

 여성 등록자의 숫자가 적은 상황에서 당은 전략공천을 적극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당 관계자는 “인재영입과 전략공천을 통해 능력 있는 여성을 확보해 자질이 떨어지는 후보가 공천받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며 “규정이 마련됐기 때문에 앞으로 여성들의 참여가 크게 확대돼 경쟁률도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강제 규정이 유연하게 바뀔 가능성도 있다. 한 여성 비례대표 의원은 “예외 없이 규정을 적용하는 것이 유권자에게 ‘억지 춘향’으로 비춰진다면 여성들이 오히려 손해를 볼 것”이라며 “논란의 소지에 대비해 조정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할당을 못 채웠다고 무조건 여성을 끼워 넣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