콰이강의 다리/ The Bridge On The River Kwai

중앙일보

입력

영화〈콰이강의 다리〉는 몇가지 이유로 인해 강력한 상징성을 가진다.

첫번째로 영화의 모든 내용들이 실화를 근거로 구성되었다는 점이다.

태평양전쟁을 배경으로 벌어지는 많은 사건들 중에서도 유독 이 다리(실제로 콰이강의 다리를 보고 온 사람들은 그 규모의 아담함으로 적잖은 실망을 한다고)가 상징적인 위치에 자리잡을 수 있는 이유는 전쟁의 포화속에서도 굳건한 전우애와 영국군인의 자부심이 묻어나는 조형물이라는 점이다.

두번째로 우리나라로 치면 인간문화재쯤 되는 최고의 위치에 올라 존경을 한몸에 받고 있는 알렉기네스의 젊은 시절을 볼 수 있는 가장 유명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조지루카스의 제국〈스타워즈〉에서 젊은 스카이워크를 양성하는 유일한 제다이로 남아있던 오이완케노비의 품위를 상기시킨다면 언뜻 상상이 가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이 영화속에서도 신의와 긍지를 강조하는, 그러면서도 군인 특유의 박력을 잃지 않았던 명배우의 젊은 시절을 볼 수 있다는 것은 이 영화의 큰 매력이다.

그의 명연기로 인해, 또한 전쟁의 비극이후에 숨겨진 살아 숨쉬는 인간성으로 인해 영화는 품격을 잃지않고 명작으로 남을 수 있었다.

이 기념비적인 작업에는 음악도 한몫 거들고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영화의 음악으로 아카데미 작곡상을 수상한 말콤아놀드의 음악은 전쟁을 바라보는 시각을 달리 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작업들과 차별된다.

앞서 언급한대로 이 영화의 주시점은 전쟁의 참혹함보다는 그속에 담겨진 인간들의 모습을 관조하는 입장이다.

말콤아놀드는 이 시점을 반영하는 곡으로 흔히〈콰이강의 마치〉라고 불리는 테마음악을 제시했는데, 이곡은〈사상최대의 작전〉〈대탈주〉등과 함께 전쟁영화음악의 명곡으로 꼽히고 있다.

콰이강근처의 주둔지로 수송되어 온 영국군 포로들이 알렉기네스의 지휘아래 이곡을 휘파람으로 부르면서 입장하는데 곡의 경쾌함과 전쟁이라는 두가지 요소들이 묘한 뉘앙스를 준다.

영화의 중반부에 일본군장교와의 투쟁에서 승리한 알렉기네스가 감방에서 나올 때 또다시 변주되어 흘러 나오며, 마지막으로 영화의 말미에 다리가 폭파되고 난 후에 오케스트라 버전으로 또 다시 변주되는데 같은 곡이 변주를 통해 이렇게 다양한 느낌을 줄 수 있다는 것이 실로 놀랍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