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현대차 계열 유지안 허용 않기로

중앙일보

입력

정부는 현대가 자동차 소그룹을 계열분리하겠다던 당초 방침을 바꿔 현대건설 등 주력 계열사들을 대신 분리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과 관련, 이를 허용하지 않기로 했다.

또 현대자동차측은 "현대 구조조정본부가 추진하는 대로 자동차 소그룹이 현대에 남아 계열주가 정주영(鄭周永) 전 명예회장이 되면 이는 지난 5월 말 3부자(父子) 동반 퇴진 발표를 스스로 뒤엎는 결과" 라며 반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차의 계열분리가 앞으로도 상당기간 진통을 겪으면서 현대의 대외신인도 하락, 형제간 분쟁 재연 등이 우려된다.

공정거래위원회 관계자는 28일 "현대가 정부와 국민에게 현대차를 계열분리하겠다고 한 약속과 배치된다" 며 "현대는 주력이 남고 소그룹인 현대차를 계열분리해야 한다" 고 말했다.

재정경제부 고위 관계자는 "현대의 계열분리 방안은 3부자 동반 퇴진 발표를 무색하게 하는 것으로 국민과 정부를 우롱하는 것" 이라고 말했다.

현대 김재수 구조조정본부장은 28일 "35개 계열사 가운데 당초 분리예정이었던 현대차 관련 6개사 등 모두 10개사를 남기고, 대신 현대건설.현대중공업 등 나머지 25개사를 분리하는 방안을 29일 중 공정거래위에 신청할 계획" 이라고 말했다.

金위원장은 이어 "공정거래위로부터 긍정적인 답변을 얻지는 못했지만 법적으로 전혀 문제가 없다" 고 덧붙였다.

현대그룹측은 공정거래위가 鄭전명예회장의 현대차 지분(9.09%)을 계열분리 요건인 3% 이하로 낮추라고 요구하고 있지만 鄭전명예회장이 지분보유를 고집하고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어 분리방법을 바꾸기로 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이에 대해 현대자동차측은 "자동차 계열분리를 하지 않겠다는 의도" 라며 "공정위의 처분을 기다리겠다" 고 말했다.

김시래.이계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