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는 역동적인 무술 … 제2의 ‘옹박’ 기대하세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프라차야 핀카엡

“태권도를 소재로 ‘옹박’ 스타일의 액션영화를 만들어보자는 한국 제작자의 제안에 흔쾌히 응했습니다. ‘옹박’이 그랬던 것처럼 액션영화가 진일보할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습니다.”

다음 달 3일 개봉하는 ‘더 킥’의 연출을 맡은 프라차야 핀카엡(49)감독. 태국 전통무술 무에타이를 소재로 한 액션물 ‘옹박: 무에타이의 후예’(2003)의 연출자다. 8일 부산 노보텔에서 만난 그는 “태권도나 무에타이 둘 다 멋진 무예지만, 실제론 전혀 할 줄 모른다”라며 웃었다.

‘더 킥’은 태국에 사는 한국인 가족이 주인공. 아버지(조재현), 어머니(예지원), 아이들(나태주·태미) 모두 태권도 유단자인 ‘태권가족’이다. 아버지 문 사범이 태국 왕조의 비검(秘劍)을 악당들로부터 되찾게 되면서 이들 가족은 소동에 휘말린다.

 “태국에선 한류 덕분에 신세대들에게 태권도 인기가 높습니다. 특히 부유층 부모들이 자녀들에게 호신용으로 배우게 합니다. ”

 그는 “무에타이는 몸의 9군데 관절을 사용하는데 비해 태권도는 발차기와 몸 회전 위주”라며 “단순해 보이면서도 역동적인 태권도만의 특징을 액션으로 보여주는 게 쉽지 않았다”고 말했다.

 합작영화인 만큼 양국 문화 교류에도 신경을 썼다고 했다.

 “태국에 사는 한국인 가족이 주인공이 된 것도 한국 관객을 염두에 둔 설정입니다. 한국 사람과 태국 사람이 각자의 언어로도 대화가 가능한 장면도 나옵니다. 한국 관객에게 태국의 명소를 보여줘 태국의 새로운 모습에 눈뜨게 하는 것도 목표였습니다. 한국인이 이 영화를 보면서 정서적 유대감을 갖길 바랍니다.”

부산=기선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