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타임스, 교수 연구 성과 60% 반영 … 논문 피인용 많은 포스텍, KAIST 앞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중앙일보 대학평가는 1994년 시작돼 올해로 18주년을 맞았다. 4개 부문(교육여건, 교수연구, 국제화, 평판사회진출) 34개 지표로 구성돼 있어 대학을 정교하게 평가한다. 이에 비해 2004년 출범한 더 타임스 평가는 5개 부문 13개 지표로 이뤄져 있다. 특히 연구 성과에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두고 있다. 대학교수들이 국제학술지에 낸 논문의 피인용 수(최근 5년간) 점수가 총점의 30%를 차지할 정도다. 평판도(Reputation Survey) 조사 반영 비중도 총점의 34.5%를 차지한다. 여론조사는 세계 137개국 1만7500여 명의 교수나 연구원을 대상으로 했다.

 이에 따라 중앙일보 대학평가 순위와 더 타임스 순위는 차이가 난다. 논문 피인용 점수를 많이 받은 포스텍이 중앙일보 대학평가 1위인 KAIST를 앞선 것이다. 더 타임스 평가는 대학으로부터 자료를 확보할 수 없을 때 다른 점수(평판도 조사)를 고려해 임의로 점수를 부여한다. 중앙일보 대학평가는 대학으로부터 직접 자료를 받아 확인 절차를 밟은 뒤 대학공시정보 자료와 비교해 이를 평가에 활용한다.

◆대학평가팀=강홍준 차장(팀장), 최선욱·강신후 기자, LA 중앙일보=장열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