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정부 현투 정상화방안 막판 줄다리기

중앙일보

입력

현대투신정상화방안을 놓고 현대그룹과 정부가 막판 줄다리기를 벌이고 있다.

현대는 정부로부터 현대투신정상화와 관련, 선 지원이나 장기저리 지원의사가 없음을 최종 확인하고 시장이 신뢰할 수 있는 자체 경영정상화방안을 이르면 3일중 발표하기로 했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2일 오전 이용근 금융감독위원장과 정몽헌 현대 회장이 직접 전화로 현대투신 정상화방안을 논의, 상호 입장을 조율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현대 정 회장이 정부의 충분한 지원을 희망한 반면 이용근 위원장은 현대 스스로 시장이 신뢰할 수 있는 수준으로 투신 정상화방안을 내놔야하며 정부 지원은 시장금리로 증권금융자금을 지원하는 것 외에 다른 방법이 없다는 점을 확실히 했다고 말했다.

그는 따라서 정 회장이 정부의 입장을 최종 확인한 만큼 대주주와 총수일가, 계열사의 증자 참여와 실권주 인수, 후순위채 인수 등의 자체 정상화방안을 만들어 이르면 3일중 발표할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한편 정 회장은 이날 현대 계동 사옥 12층 집무실에서 이익치 현대증권회장, 김재수 구조조정본부장, 김윤규 현대건설 사장, 이창식 현대투신증권 사장 등과 현대투신 정상화 방안 논의를 계속했으나 대주주 증자와 오너 일가 출자 등의 규모를 확정하지 못해 막판 진통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 계열사 고위관계자는 "현대 수뇌부는 현대투신 부실의 원인을 놓고 정부와 더 이상 논리싸움을 벌일 단계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실천가능한 방안을 찾기가 쉽지 않아 곤혹스러운 입장"이라고 말했다.

현대 구조조정본부 고위관계자는 "정부와 여론을 어느 정도 만족시키면서도 투자자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묘안을 찾다보니 어려움이 크다"고 말했다.

재계는 현대의 발표내용에 ▶대주주.총수 일가 증자참여 ▶경영정상화후 대주주이익의 사회환원 ▶계열사의 현대투신 후순위채권 발행 ▶외자유치 조기 성사 ▶현대투신운용 지분 매각 ▶영업이익 극대화 등 현대투신측이 그동안 밝혀온 자구방안이 주를 이루되 정부와 여론을 의식, 현대 오너들의 현대투신 증자시 실권주 인수등 정부측의 제안을 부분 수용하는 방안도 담길 것으로 전망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종현.박운영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