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가 커지는 하이힐 소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중국 여성의 정부 고위직 진출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차관급에 해당하는 직할시 부시장과 부성장 자리에 여성을 발탁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아직 ‘여인천하’까지는 아니지만 여풍(女風) 약진 현상은 갈수록 뚜렷해지는 추세다. 인민일보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31개의 성(省)·직할시·자치구 중 26곳에 모두 28명의 여성 부성장·부시장·부주석이 포진하고 있다고 최근 보도했다. 랴오닝(遼寧)·지린(吉林)·후난(湖南)·구이저우(貴州)·칭하이(靑海) 등 5개 성에만 여성 부성장급이 없었다. 이들 지방정부에도 얼마 전까지 여성 부성장이 있었지만 중앙정부로 발탁되면서 일시적인 공백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광둥(廣東)과 간쑤(甘肅)성에는 각각 2명의 여성 부성장이 활약하고 있다.


 28명의 부성장급 중에서 50대가 대다수를 차지했지만 류링허우(六零後·1960년대생)도 6명이나 됐다. 장시(江西)성 셰루(謝茹·사여·43) 부성장이 68년생으로 최연소였다. 청훙(程紅·정홍·66년생) 베이징 부시장과 간쑤성 장샤오란(張曉蘭·장효란·65년생), 저장(浙江)성 거후이쥔(葛慧君·갈혜군·63년생), 장쑤(江蘇)성 황리신(黃莉新·황리신·62년생), 산둥(山東)성 왕쑤이롄(王隨蓮·왕수련·62년생) 부성장이 모두 60년대생들이다.

 공산당원이 대다수이지만 6명은 이른바 8개 민주당파와 무당파 출신이다. 구삼학사(九三學社·정당명)가 2명, 중국농공민주당과 중국민주촉진회가 1명씩 배출했다. 청훙 베이징 부시장은 중국민주동맹 출신이다.

 소수민족 자치구를 중심으로 소수민족을 발탁한 사례도 보인다. 숫자가 상대적으로 많은 몽골족·장족·티베트족·회족·만주족뿐 아니라 여족(黎族)도 부성장급을 배출했다.

 이처럼 여성의 지방정부 고위직 진출이 활발한 것은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이 됐다. 실제로 국무원(중앙정부)은 최근 ‘2011∼2020 전국 부녀발전 요강’을 발표하면서 향후 10년간 여성들이 정책결정과 관리에 적극 참여하도록 했다. 시간이 갈수록 중국 지방 행정의 최고 의사결정집단에 여성의 진출이 늘 전망이다.

 여성 발탁이 늘어나는 것은 관료조직 내부에서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패에 연루될 위험이 적어 청렴도 강화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도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베이징=장세정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