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후락 암살조, 통영 호텔까지 알고 침투 … 내부 스파이 있었단 얘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이후락

북한 당국이 요인암살조를 한국에 파견하는 일은 과거에도 있었다. 1974년 8·15광복절 행사때 장충동 국립극장에서 벌어진 ‘육영수 여사 암살사건’이 대표적이다. 실패한 암살조도 있다. 74년 이후락씨 암살미수사건이다. 10일 김종필(85) 전 총리가 기자에게 당시 상황을 회고했다. 이후락씨는 중앙정보부장을 지낸 직후였고 김 전 총리는 박정희 대통령 밑에서 국무총리를 하고 있었다. 다음은 김 전 총리의 얘기.

 “이후락씨는 중정부장을 하면서 평양에 가 김일성을 만났어요. 72년 7·4남북공동성명을 이끌어냈지만 그 해 10월유신이 나면서 남북관계가 악화됐지. 김일성은 이후락한테 배신감을 느꼈어. 그때나 지금이나 북한은 김일성·김정일이 찍은 사람은 반드시 보복을 합니다. 그 뒤의 봄이었어. 이후락이 통영의 한 호텔(※충무관광호텔로 추정됨)에 쉬러 갔을 때야. 평양의 진남포에서 잠수정을 타고 출발한 3인의 암살조가 새벽에 통영 해변에 상륙했어요. 무장공비였는데 마침 경찰 경비대에 들켜 총격전이 벌어졌지. 한 놈은 사살되고, 한 놈은 바다속으로 뛰어들었는데 죽었을 것이고, 한 놈은 총상을 입은 채 붙잡혔어. 총상 입은 공비를 신문했는데 ‘이후락을 죽이러 왔다’고 했어. 그 친구는 총상 때문에 결국 죽었지. 이후락은 다행히 호텔에 없었다는구만.(잠시 사이) 이후락이 통영 그 호텔에서 묵는다는 동선을 평양에서 어떻게 알았을까. 결국 한국 내부에 그 정보를 주는 스파이들이 있었다는 얘기지.”

이철재 기자

사진

이름

소속기관

생년

[前] 중앙정보부 부장   *사망

1924년

[現] 한나라당 명예고문
[現] 자민련 총재

1926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