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빙더 총참모장 … 김관진 면전에서 10분간 미국 비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14일 베이징에서 김관진 국방부 장관과 회담한 천빙더(陳炳德·진병덕·사진) 중국 인민해방군 총참모장이 김 장관에게 미국에 대한 비난을 쏟아냈다. 천 총참모장은 모두 발언에서 “미국은 다른 나라에 이래라저래라 하면서 다른 나라의 의견은 듣지 않는다”며 “미국은 항상 패권주의에 해당하는 행동이나 표현을 하는 패권주의의 상징”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 사람들과 토의할 때 많은 어려움을 느낀다. 미국과 동맹인 한국도 그런 느낌을 받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천 총참모장은 전날까지 중국을 방문한 뒤 방한 중인 마이크 멀린 미 합참의장과 관련, “멀린이 중국 군사의 투명성 문제를 얘기했는데 무슨 기준으로, 무엇을 투명성이라고 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또 “미국이 베트남·필리핀과 군사훈련을 크게 하는 데 이는 미국이 남해 4도(난사군도:南沙群島)에 개입하는 상징으로, 적절하지 않으며 더 많은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고 비판했다. 천 참모장은 “내가 멀린을 지난 5월 중국에 초청해 7월에 오게 했는데 이는 미국이 대만에 무기를 판매할 경우 미 합참의장인 그의 방중이 어려워질 것이기 때문”이라고도 말했다. 

김관진 국방장관(왼쪽)이 14일 베이징 인민대회당 1층 접견실에서 시진핑(習近平·습근평) 중국 국가부주석과 악수하고 있다. 김 장관은 이어 천빙더 중국 인민군 총참모장과 회담했다. [베이징=연합뉴스]

작심한 듯한 천 총참모장의 발언은 취재진이 듣는 가운데 10여 분간 계속됐다. 회담에 참석했던 관계자는 “김 장관이 말할 틈도 없이 천 총참모장이 말을 이어갔다”며 “한·중 회담인지 미·중 회담인지 헷갈릴 정도였다”고 말했다. 이런 천 총참모장의 언행을 놓고 외교적 결례라는 지적이 나온다. 통상 회담 전 언론에 공개하는 모두 발언은 인사·덕담 선에 그치며 화제도 양자(한·중) 간의 현안에 한정하기 때문이다. 또 중국의 총참모장은 우리의 합참의장에 해당해 장관보다 격이 낮은 직책이다.

천 총참모장은 한반도 문제와 관련, “남북은 하나의 민족이고 하나의 가족”이라며 “중국은 형제인 대만 문제를 처리할 때 인내심을 가지고 전체적인 방법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국이 북한에 인내심을 갖고 정책을 펴나갈 것을 간접 주문한 것으로 풀이됐다.

 이에 대해 김 장관은 “한·미·중 3국 사람들이 서로 좋게 방문하고 소개하는 것을 보면 동북아 정세가 잘될 것 같다”고 반박했다. 이어 "지난해 북한의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공격은 우리 국민에게 큰 상처와 분노를 일으키게 했다”며 “최근 20대 젊은이들도 80%가 ‘북한 도발 시 무력 응징해야 한다’고 대답하더라”고 소개했다.

 김 장관은 이에 앞서 차기 중국 지도자인 시진핑(習近平·습근평) 부주석을 예방한 자리에서 중국에 억류 중인 국군포로 가족 5명의 조기 송환을 요청했고, 시 부주석은 “한국 정부와 연락을 유지해 가면서 협의하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베이징=정용수 기자

사진

이름

소속기관

생년

[現] 국방부 장관(제43대)

1949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