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납북 9만6000명 피해조사 본격 추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조국이여, 유엔(UN)이여! 지옥으로 가는 우리를 구출하여 준다는 것은 우리의 신념이라.’

 6·25전쟁 당시인 1950년 10월 평양으로 진격한 국군이 납북자들이 감금됐던 평양형무소를 찾았을 때 북한군은 이들을 모두 끌고 사라진 뒤였다. 감방에는 구출을 바라는 한 납북자의 간절한 글이 적혀 있었다. 하지만 그의 염원은 6·25 61주년이 지나도록 이뤄지지 않았다. 오히려 6·25 납북자들은 피랍과 가족들에 대한 연좌제, 세인의 관심에서 망각되는 3중의 고통을 겪었다.

 6·25전쟁납북진상규명위원회가 이 같은 아픔을 달래주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지난해 12월 첫 회의를 한 6·25납북진상규명위는 김황식 국무총리가 위원장을 맡고 현인택 통일부 장관과 전문가, 납북자 가족대표 등 14명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위원회는 지난달 말 6·25전쟁 61주년을 계기로 납북사건의 진상규명과 납북자·가족들의 피해조사 및 명예회복을 본격적으로 추진키로 했다. 이를 위해 위원회는 납북자 피해신고를 국내(안내전화 1661-6250)는 물론 해외공관에서 받고 있다. 6·25 납북자는 9만6000여 명으로 추정된다.

 관련 법률을 발의했던 박선영 의원은 “추진력을 더하려면 납북 일본인 17명을 위해 납치 전담장관을 둔 일본처럼 납북자 담당 특임장관을 임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호열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는 “김대중·노무현 정부 시기 과거사위원회는 1894년의 동학운동까지 거슬러올라가 훑었지만 민족 최대의 비극인 6·25 때 북한이 자행한 민간인 납치는 손대지 않았다”며 “6·25 납북진상규명위는 균형감 있는 과거사 정리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한 살 때 아버지가 북한군에 끌려간 이미일 6·25납북인사가족협의회 이사장은 “ 2000년 9월 김대중 당시 대통령이 ‘납북자 480명 문제 해결에 노력하겠다’고 말하는 걸 듣고 하늘이 무너지는 듯했다”며 “그때 정부는 6·25 납북자 9만 명을 버린 셈”이라고 비판했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계획적 납북을 규명할 국내외 자료 등을 확보하고 가족들의 DNA 샘플을 채취해 납북자 신원 확인 및 유해 송환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미일 이사장은 “납북자 가족들이 더 이상 ‘단장의 미아리고개’를 부르지 않아도 되도록 해달라”고 말했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