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신소재 등 핵심산업기술에 4천 265억원 투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부는 올해 4천 265억원을 투입, 생명과학, 우주, 신소재분야 등 미래 핵심산업기술을 집중 육성키로 했다. 과학기술부는 18일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특정연구개발사업''의 2000년도 시행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금년도 ''특정연구개발사업비''는 지난해 3천 638억원에 비해 17.2%가 늘어난 규모로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에 500억원, `국가지정 연구실사업''에 750억원,`중점국가 연구개발사업''에 798억원,`우주기술 개발사업'' 511억원,`선도기술 개발사업 690억원, `창의적 연구진흥사업'' 275억원, `민.군 겸용기술 개발사업''에 213억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또 올해는 `우주기술 개발사업''을 `중점국가 연구개발사업''에서 분리, 본격 추진키로 했다. 이를 통해 다목적 실용위성 2호(263억원)와 과학위성 1호(22억원) 등 인공위성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고도 900km에 도달할 수 있는 3단형 과학 로켓기술(226억원)의 개발을 서두르기로 했다.

아울러 2005년에 과학위성 2호를 자력 발사하기 위한 우주센터를 건설하기 위해 우주센터 후보지를 상반기중에 선정하고 기본설계 및 상세 지질조사 등에 착수키로 했다.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의 신규 사업으로는
생명과학분야에서 `국내 자생 생물다양성의 산업적 이용 기술'',
소재분야에서 `나노기능 소자 개발'',
환경분야에서 `폐기물 자원화·재활용 기술'' 등 3개가 선정됐다.

이로써 지난해 선정된 `지능형 마이크로시스템 개발사업''과 `게놈기능분석을 이용한 신유전자기술 개발사업''을 합쳐 프론티어사업 지원대상이 5개로 늘어났다.

`국가지정 연구실사업''은 750억원의 예산을 투입, 지난해 선정한 140개와 금년에 선정할 1백 50여개 등 총 2백 90여개의 연구실을 지원하게 된다. 생명과학 분야에서는 인간유전체 연구(100억원)와 뇌과학연구(64억원) 등을 통해 위암, 간암, 뇌졸중, 치매 등의 난치병 정복에 도전하고, 또한 국내에 자생하는 야생식물을 이용, 뉴트라슈티컬(의약품으로 겸용이 가능한 식품) 등 신기능성 식품 및의약품을 개발(100억원), 세계적 수준의 생명과학산업을 육성·지원할 계획이다.

이밖에 고효율 수소제조기술개발사업(10억원), 중전기기 연구기반구축사업(50억원), 강릉 천연자원연구소사업(10억원) 등이 새로 착수될 계획이다.

한편 과기부는 인터넷 시대를 맞아 금년부터 종전의 일간신문을 통한 연구개발사업 공고방식을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한 공고 및 안내방식으로 전환하는 등 인터넷 사용을 적극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특정연구 개발사''은 국가 과학기술 혁신역량을 배양하고 핵심산업기술의 고도화를 위해 기술 개발 촉진법에 따라 정부가 직접 대규모 연구비를 지원하는 국가연구 개발사업으로 82년부터 99년까지 18년간 정부 3조 513억원, 민간 2조 386억원 등 총5조 899억원이 투입됐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