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정지 7개 저축은행, 강제 매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지난 2월 영업정지당한 7개 저축은행이 매각 절차를 밟는다.

 금융위원회는 29일 임시회의를 열고 부산계열 5개(부산·부산2·중앙부산·대전·전주) 저축은행과 보해·도민저축은행을 부실 금융기관으로 정하고 경영개선명령을 내렸다. 45일 안에 대주주 증자 등으로 경영이 정상화되지 않으면 이들 저축은행은 강제 매각된다.

 금융감독원 검사 결과 7개 저축은행 모두 부채가 자산을 초과한 자본잠식 상태다. 부산저축은행의 경우 부채가 자산보다 1조6800억원이나 많았다. 7개사의 순자산 부족분은 총 3조3688억원에 달한다. 금감원 김장호 부원장보는 “금감원의 통상적인 검사방법으로는 발견하기 어려웠던 숨겨진 불법 대출이 이번 검찰 수사 과정에서 적발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경영정상화 기간 동안 예금보험공사의 매각작업도 함께 추진된다. 예보는 다음 달 중순 입찰공고를 낸 뒤 본입찰을 실시해 6월 말께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매각은 부실 채권을 제외한 우량자산과 부채만 넘기는 자산부채이전(P&A) 방식으로 이뤄진다. 삼화저축은행(현 우리금융저축은행)이 우리금융지주에 매각될 때와 같은 방식이다. 이 경우 예금보장 한도인 원리금 5000만원을 넘는 예금은 보호 받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예금보험공사 김준기 저축은행정상화부장은 “우량하고 건전한 금융회사로 인수 후보를 제한할 방침”이라며 “7개 저축은행 중 몇 곳을 묶어 파는 방안도 배제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KB·우리·신한·하나금융지주는 이들 저축은행이 매물로 나오면 인수를 검토해 보겠다는 입장이다. 부산에 근거지를 둔 BS금융지주도 저축은행 인수에 관심을 보여 왔다.

 대기업 계열이나 금융지주 자회사인 캐피털사와 보험사들도 조심스럽지만 저축은행 인수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일부 대기업 계열 2금융권 금융회사들은 추가 매물이 나오면 인수전에 참여하고 싶다는 의사를 당국에 타진했다는 후문이다. 올해 첫 보험 중심 지주회사로 전환한 메리츠금융지주는 수신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 저축은행 인수에 관심을 갖고 있어 이번 저축은행 인수전에 뛰어들지 주목된다.

한애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