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손기술, 세계가 카피하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18일 오전 8시30분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 본관 5층 수술실로 브라질 상파울루 의대 윌슨 코스타를 비롯한 외국인 위암전문의 5명이 들어섰다. 세브란스병원 노성훈(위암센터장) 교수가 집도하는 위암 환자 왕모(64)씨 수술 장면을 보기 위해서였다. 노 교수는 췌장과 간 아래 림프절(임파절)을 제거하고 위의 70%를 능숙하게 절제했다. 외국인 의사들은 “판타스틱!”을 연발하며 수술 장면을 카메라에 담았다.

외국인 의사들이 19일 서울대병원 양한광 교수(왼쪽 둘째)의 위암 수술을 지켜보고 있다. 오른쪽부터 카나 가벨(인도), 찬드라 모한(인도), 사이먼 로(홍콩) 교수. [김도훈 기자]


 이들이 찬사를 보낸 것은 전기소작기 수술법. 노 교수는 암이 전이되지 않도록 림프절을 절제하거나 혈관을 처리할 때 메스 대신 이 기구를 사용했다. 고열로 문제 부위를 지지면서 잘라내 피가 나지 않고 효율이 높아 수술 시간을 3~4시간에서 2시간으로 줄이는 기법이다. 환자 회복도 빠르다. 이 기법은 1996년 노 교수가 처음 발표한 뒤 국제표준이 됐다.

노성훈 교수

한국이 세계 위암 치료의 표준을 만들고 있다. 위암에 가장 많이 걸리지만 치료를 최고로 잘해 위암 치료 강국이 된 것이다. 우리나라의 인구 10만명당 위암 환자는 41.42명(세계 평균 19.8명)으로 세계 1위지만 생존율은 가장 높은 것이 그 근거다(국제암연구소 2010년 자료).

 메디컬 코리아의 힘은 의술이다. 위암 환자가 많고 대형 병원에 집중돼 한 명의 외과의사가 연간 500~600명을 수술한다. 일본은 50명을 넘는 데가 없다. 서울아산병원 김병식(외과) 교수는 “수술을 자주 하면 경험이 쌓여 의술이 발전한다”며 “수술 기법은 일본보다 나은 것 같다”고 말했다. 세브란스병원 수술을 참관한 브라질 의사 칼로스 제이코는 “특유의 정교한 손기술도 한국인만의 장점인 것 같다”고 말했다.

 2008년 8월 미국에서 열린 7차 위암 병기(病期:암 1~4기 기준)회의에서 세계 각국은 병기의 새 기준을 만들려고 미국 자료를 사용했으나 엉뚱한 결과가 나왔다.

참석자들은 한국과 일본 자료 중 한국 것을 채택했다. 서울대병원 양한광(외과) 교수는 “한국의 자료가 훨씬 풍부하고 신뢰도가 높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국 기준이 세계 기준이 된 것”이라고 말했다.

 20~23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열리는 제9회 국제위암학술대회를 계기로 한국의 위상은 더 올라갈 전망이다. 세계 2000여 명의 위암 전문가가 참가해 1193편의 논문을 발표하는데 이 중 262편이 한국인 것이다. 참가 인원이나 논문 규모가 사상 최대다. 특히 연세대 노성훈 교수가 세계위암학회 회장으로 선임된다.

글=신성식 선임기자, 배지영·박유미 기자
사진=김도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