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석춘 한국노총 위원장 “민주당 무상복지 시리즈, 번지수 틀렸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민주당의 무상정책 시리즈는 국가가 처한 번지수도 모르고 내지른, 말도 안 되는 정책이다.”

 장석춘(54·사진) 한국노총 위원장은 19일 본지와의 단독인터뷰에 이렇게 말했다. 2008년 취임해 3년 임기를 끝내고 이달 말 위원장직에서 물러나는 그는 작심한 듯 쌓아뒀던 말들을 쏟아냈다.

 그는 “민주당의 무상급식, 무상보육, 무상의료 정책은 우리의 국민소득이 4만 달러 이상 된다면 생각해볼 만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소요 자원을 어떻게든 대야 할 텐데, 조폐공사가 돈을 마구 찍어서 할 수는 없지 않은가”라며 “국가 예산 상황을 잘 알고 얘기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장 위원장은 또 “무턱대고 돈을 막 뿌리는 정책보다 (취약계층에)주더라도 스스로 일어설 수 있게 기반을 갖춰주는 쪽으로 복지정책을 펴야 한다”고 말했다. 얘기는 정치권 비판으로 이어졌다.

 -야당인 민주당에 대해 상당히 비판적이다.

 “예전에 전임자 임금지급 금지와 복수노조 허용을 둘러싸고 협상이 오갈 때 민주당은 정책대안을 전혀 내놓지 않았다. 그러면서 노조법 개정안에 대한 합의가 이뤄지자 우리와 한나라당이 야합했다고 비난만 했다. 정책정당으로서 그러면 안 된다.”

 -손학규 민주당 대표가 한진중공업의 분규현장을 찾는 등 친노동 행보를 하고 있는데.

 “손 대표가 한진중공업에 간 것은 잘못이다. 분규에 기름을 붓는 행동이다. 당 관계자를 통해 실태를 파악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정부와 기업, 노조 사이에서 가교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찾는 게 맞다.”

 -정책연대를 하고 있어서인지 한나라당에는 우호적이다.

 “정책연대 때문이 아니다. 그나마 한나라당은 우리의 정책적 요구에 대안을 내놨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게 다 실현된 것도 아니다. 정부에서 제동도 많이 걸었다.”

 장 위원장은 “노조도 국가관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주요 20개국(G20)이나 미국산 쇠고기 반대집회는 정치적이고 이념적인 집회였다”며 “내가 한국노총의 집회 참여를 금지한 것은 집회 참가 자체가 정치적으로 이용당하기 때문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노동계는 이제 (정부와 재계에) 무엇을 요구하기 이전에 먼저 자정작업부터 해야 한다”며 “사회로부터 받은 것을 되돌려주는 활동이 많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장 위원장은 LG전자노조위원장과 한국노총 금속노련 위원장을 지냈다. 한국노총은 25일 신임 위원장을 뽑는 선거를 치른다.

김기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