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예상생산량 3천625만섬…작년보다 2.4% 늘어

중앙일보

입력

수해에도 불구하고 올해 쌀농사가 풍작을 이룰전망이다.

농림부는 15일 "10월 10일을 기준으로 한 올해 쌀 예상생산량은 3천625만섬으로 생산목표 3천500만섬보다 3.5% 많고 막판 태풍으로 평년작에 그친 작년의 3천540만섬보다 2.4% 많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 9월 25일부터 미곡종합처리장을 통해 산물벼 수매를 실시, 14일 현재 60만섬의 침수벼를 사들였으며 포장벼는 오는 20일부터 수매하기로 했다.

10a당 예상수확량은 490kg으로 올 목표치보다 7kg, 지난해 실제 수확량보다는 8kg 각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적으로는 9월 하순 태풍에 쓰러지고 물에 잠겨 피해을 본 전남과 경남에서 지난해보다 4%와 1%정도 감수가 예상되나 강원, 충남.북, 전북 등의 지역은 지난해보다 2-7% 정도 수확량이 늘 것으로 조사됐다.

김성훈 농림부 장관은 "7월 하순의 호우, 8월 초와 9월 하순의 태풍에벼농사가 상당한 영향을 받았지만 재배면적이 작년보다 7천ha가 늘어난데다 전국민의 적극적인 수해복구 지원으로 평년작 이상을 전망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앙기부터 출수기까지 일조량과 강우량이 풍부해 생육이 좋았고 병충해도 적었으나 벼가 익어가는 황숙기에 태풍과 잦은비로 벼알이 다소 부실해지고일부지역의 침수피해가 있었다"고 덧붙였다.

올해 예상수확량은 우리나라의 연간 쌀 수요량 3천500만섬을 충족하기 때문에 내년에도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비축권장량인 570만섬이상의 재고가 유지돼 쌀의안정적인 수급이 가능할 전망이다.

농림부는 앞으로 벼수확이 완료될 때까지 남은 20여일간 기상이변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벼수확 10일 앞당기기' 캠페인을 전개하는 가운데 이번 주말에도 농업관련 공무원과 농지개량조합.농어촌진흥공사 등 직원들이 벼베기 일손돕기에 나서도록 지시했다.[서울=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