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헌 결정 받았을 땐 뼈 묻을 각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행정도시특별법안 통과의 주역인 열린우리당 박병석(대전 서갑.재선.사진) 신행정수도건설 부위원장은 2003년 말 창당 이후 행정도시 관련 당직 외에 다른 당직을 맡지 않았다.

노무현 대통령이 대선공약으로 내세웠던 신행정수도 건설을 그의 소명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번 특별법안의 국회 통과에 대한 감회가 누구보다 남다르다.

실제 그는 2002년 9월 국회 국정감사에서 "수도를 대전권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주장이 나온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당시 노무현 후보가 대선공약으로 '신행정수도 건설'을 내놨다. 서울시 정무부시장을 지낸 그는 "수도권의 문제는 혁신적인 방법이 아니고서는 풀 수 없다는 사실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다"며 "이는 수도권과 충청권이 함께 사는 윈윈 전략"이라고 말했다.

지난 2년여 동안 행정도시 건설을 추진하면서 가장 아찔했던 순간은 지난해 10월 헌법재판소가 신행정수도 건설에 대해 위헌결정을 내렸을 때다. 그는 "살면서 그렇게 앞이 캄캄한 순간은 없었다"며 "오히려 더 오기가 생겨 행정수도 건설에 뼈를 묻겠다는 각오를 했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건설될 행정도시에 작은 바람이 두 가지 있다"며 "시 중심부에 납골당을 세우는 것과 베를린보다 숲이 우거진 도시를 만드는 것"이라고 밝혔다.

신용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