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핵물질 출처 "북한 아닌 파키스탄일 수도"

중앙일보

입력

리비아가 미국에 넘겨준 핵물질의 출처가 북한이 아니라 파키스탄일 수도 있다고 워싱턴 포스트가 3일 보도했다. 이는 뉴욕 타임스와 워싱턴 포스트가 전날 보도한 '북한의 핵물질 수출설'과 상반된 것으로 주목된다. 현재 한국과 중국은 부시 행정부의 북한 핵물질 수출 정보에 의구심을 갖고 있다.

워싱턴 포스트는 이날 북한이 리비아에 저농도 우라늄인 6불화 우라늄(UF6)을 수출했다는 미국의 주장에 의문을 제기했다. 분석 방법에 따라선 파키스탄을 출처로 지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신문은 리비아 핵물질을 조사한 국제원자력기구(IAEA) 과학자의 말을 인용해 "우리가 자체로 분석한 결과 미국 측과 같은 결론이 나오지 않았다.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말했다. 미국은 실험 결과를 IAEA에 통보하지 않았다. 또 IAEA는 지난해 미국이 조사한 것과 동일한 UF6가 담겨진 같은 용기를 조사했으나 플루토늄이 검출되지도 않았다. 문제의 핵심은 UF6의 원산지다. 이를 밝히기 위해서는 북한과 파키스탄의 우라늄 시료와 대조해야 한다. 그러나 IAEA의 한 관계자는 "아무도 북한과 파키스탄의 우라늄 시료를 갖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파키스탄 산(産)이라는 두 가지 정황 증거가 있다고 신문은 보도했다. 우선 IAEA 관리는 문제의 UF6가 담겨진 용기가 파키스탄에서 온 것이라고 말했다. 또 말레이시아의 핵물질 밀거래 사업자인 타히르는 미국 정보 당국에 "그 출처는 파키스탄"이라고 털어놨다고 신문은 전했다. 미국의 핵 전문가인 데이비드 울브라이트 박사는 "출처가 북한이라는 정보는 미국이 동맹국을 대북 강경쪽으로 몰아가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마이클 그린 미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담당 선임국장은 3일 오후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을 예방했으며, 외교부 송민순 차관보(북핵 6자회담 한국 대표)와 조태용 북핵외교기획단장을 면담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그린 국장은 조지 W 부시 2기 행정부 출범을 계기로 동아시아 담당자로서 한.중.일 등 주요 국가의 정책 담당자와 현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기 위해 순방 중"이라면서 "한국과는 6자회담 재개 및 북한 핵 문제 등을 집중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6자 회담과 관련, 양측은 회담 조기 개최를 위한 노력을 더 강화하기로 의견을 같이했다. 당국자는 "관련국끼리 조용한 가운데 교신과 교감을 하고 있다"며 "6자 회담 개최문제에는 진전이 있을 것이며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미국 언론의 '북한이 6불화 우라늄 2t 리비아 판매' 보도와 관련, 당국자는 "이 사안이 6자 회담 개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사안은 아니며 오히려 조속한 회담 재개의 필요성을 확인해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최원기.안성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