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태료 안내면 가산금 물리고 심하면 '구치소'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고액의 과태료를 오랫동안 내지 않거나 액수가 적어도 내지 않는 일이 잦은 사람에게는 가산금이 부과되고 심할 경우 구치소에 가둘 수(감치.아래에 용어 설명) 있게 될 전망이다. 현재는 과태료를 내지 않아도 특별한 제재가 없다.

법무부는 24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질서위반행위 규제법'을 입법예고했다. 이 법은 국무회의 심의.국회 의결 등을 거쳐 이르면 올 하반기 시행될 예정이다. 이 법에 따르면 돈이 있으면서도 고의로 1년 이상 또는 1년에 세 번 이상 과태료를 내지 않은 사람은 법원의 재판을 거쳐 최장 30일까지 구치소에 가둘 수 있게 된다. 또 원래 부과됐던 과태료의 최고 77%까지 가산금이 부과된다.

법무부 안영욱 법무실장은 "강제규정이 없어 부과된 과태료 가운데 50% 정도만 정상적으로 납부되고 고의적인 상습 체납자가 많은 현행 과태료 제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 법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행정기관이 부과하는 과태료를 받아내기 위해 인신을 구속하는 것은 인권 침해의 소지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감치(監置)=법정에서 소란을 피운 사람 등을 판사가 유치장이나 구치소에 가두는 것. 사람을 구속하려면 형법상 징역.금고형에 해당하는 죄를 범해야 하지만 감치는 질서유지나 준법을 요구하기 위해 판사의 결정으로 할 수 있다.

김현경 기자

*** 과태료 부과 대상은

▶자동차 주정차 위반(20만원)▶생활폐기물 마구 버리기(100만원)▶유통 기한 지난 식품 판매(300만원)▶청소년에게 유해한 광고 배포(5000만원)▶농산물 원산지.유전자변형 표시 위반(1000만원)▶고속도로 톨게이트 무단 통과(정상 통행료의 10배)▶주민등록증 발급 신청기간 경과(5000~5만원)▶개발제한구역 주택의 무단 증.개축(500만원)▶방문판매자의 물품 구입 강요(1000만원)▶검역 받지 않고 해외에서 식물 반입(500만원)

*( )안은 1회 과태료 상한액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