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대사관 또 '비자 장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요르단 수도 암만 주재 미국 대사관이 미국 입국 비자를 돈받고 파는 '비자 장사' 추문에 휩싸여 영사 기능이 당분간 정지됐다고 영국의 파이낸셜 타임스가 28일 보도했다.

미 정부는 레즈 힉먼 영사를 본국으로 소환해 조사를 벌이고 있으며, 요르단 정부도 비자 발급을 대가로 돈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요르단인 직원 한 명을 체포했다. 미 정부 관계자는 "비자 발급 과정에서 상당한 액수의 돈이 오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으나 구체적 액수와 부정 발급 기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미 정부가 9·11 사태 이후 중동지역 국가로부터 입국하려는 여행자에 대해 규제 강도를 높였지만 이번 사건으로 허술한 보안에 대한 우려가 일고 있다"고 전했다. 9·11 테러범 19명 전원이 부정한 방법으로 유효한 비자를 발급받아 입국한 것으로 미 연방수사국(FBI) 등은 파악하고 있다. 미 대사관이 연루된 '비자 장사' 추문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7월엔 카타르 주재 미 대사관이 2000년 7월부터 10개월 동안 비자 한 건 당 최고 1만3천달러를 받고, 요르단인 39명 등 총 71명에게 비자를 발급한 사실이 드러나 메리 라이언 미 국무부 영사담당 차관보가 옷을 벗기도 했다.

강홍준 기자 kanghj@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