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다시 DJ 맹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김대중(金大中)대통령과 청와대를 향한 한나라당의 공세 파고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민주당과 국민통합21의 단일화 후보를 金대통령과 연관시켜 대선 핵심쟁점을 정권교체로 몰아가겠다는 뜻에서다.

서청원(徐淸源)대표는 18일 선거대책회의를 주재하며 "이번 대선의 쟁점은 단순해졌다. '부패정권을 심판할 것이냐, 아니냐'다"고 말했다. 徐대표는 오후 경북 필승결의대회에선 "노무현·정몽준 후보단일화는 金대통령의 음모에 의한 대(對)국민 사기극"이라고 비난했다. 전날 盧·鄭 단일화 합의를 놓고 청와대 배후설을 펴던 모습에서 한걸음 더 나아갔다.

한나라당은 지난달 중순부터 대선구도가 1강2중으로 형성되자 "金대통령의 임기말 마무리에 적극 협력하겠다"고 말해왔다. 金대통령이 선거과정에서 중립을 지키도록 유도하겠다는 의미에서다. 金대통령의 막내아들 홍걸(弘傑)씨가 집행유예로 풀려날 때 비난성명을 자제한 것이나, 전직 대통령들이 참여하는 국가원로자문회의 부활을 약속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다.

하지만 후보 단일화 합의를 계기로 '부패정권 심판'이란 카드를 다시 빼든 것이다. 신경식(辛卿植)대선기획단장은 "'부패정권 심판'은 총선과 지방선거 및 보선을 통해 영향력이 입증된 최강의 구호"라며 "이런 식의 선거구도가 내부 결집에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당직자들은 "'DJ정권 연착륙론'이 당내에서 급속하게 힘을 잃고 있다"며 "반(反)DJ 정서의 자극으로 생기는 호남세 결집의 부작용은 감수하자는 분위기"라고 귀띔했다.

그래서인지 당에서 이날 발표한 모든 성명과 논평에는 '후보 단일화=DJ컵 결승전' '盧·鄭=DJ양자'로 규정됐다.

이회창 후보 측의 한 특보는 "설사 단일화가 실패하더라도 盧후보는 이미 명분과 실리를 챙긴 것으로 판단된다"며 "盧후보와의 양자대결 구도가 되면 부패정권 심판론이 훨씬 잘 먹힐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최상연 기자

chois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